'뛰어야 산다' 율희, 하프 마라톤 도전→양세형 "율희 훈련 효과 확실한 듯"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9 15:11:41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뛰어야 산다’의 율희가 첫 하프 마라톤에서 확 달라진 모습을 보여 배성재-양세형-권은주 감독 등의 극찬을 한 몸에 받는다. 

 

▲'뛰어야 산다'. [사진=MBN]

 

31일(토)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뛰어야 산다’ 7회에서는 ‘뛰산 크루’가 첫 하프 마라톤에 도전하는 가운데, “최소 8인이 세 시간 안에 완주해야만 ‘탈락자’ 양소영-배윤정을 부활시킬 수 있다”는 미션을 받아 혼신의 레이스를 펼치는 현장이 공개된다. 

 

이날 전라남도 보성에서 열린 하프 마라톤(21.0975km)에서 ‘뛰산 크루’의 여자 1위이자, 막내 라인인 율희는 초반부터 앞서 나가는 것은 물론, 반환점이 넘도록 위기 없이 상위권을 유지한다. 앞서 ‘하프 마라톤’ 완주 후 바닥에 쓰러져 과호흡으로 괴로워했던 율희는 두 배로 거리가 늘어났음에도 더욱 가벼운 템포로 달리는데, 뛰는 도중에도 “힐링 되고 너무 좋아”~라며 여유만만하게 외친다. 이어 그는 제작진과의 인터뷰에서 “17km 구간을 뛰면서 확신했다. 이번 대회는 ‘한계가 와도 빨리 지나가겠구나’ 하는…”이라고 털어놓는다. ‘중계팀’인 배성재-양세형-권은주 감독 역시 율희의 성장한 모습을 대견스러워하고, 특히 양세형은 “이전 마라톤에 비해 거리가 두 배 늘었는데도 훈련 효과가 확실히 있는 것 같다. 율희의 (몸 상태가) 더 좋아 보인다”라고 칭찬한다. 

 

반면, 율희와 상위권을 형성하던 이장준과 장동선은 마라톤 중반 위기에 부딪힌다. 이장준은 업힐 구간에서 헉헉 거리며 말을 잃어가고, 이와 관련해 그는 “내 한계를 넘어선 순간부터 장난을 못 치겠더라. 말도 안 나왔다”고 당시 상태를 설명한다. 지난 10km 마라톤에서 1등을 했던 장동선 또한, 중간에 멈춰 서서 파스를 뿌리며 괴로워하는 등 한계에 직면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면서 그는 “아까 잠깐 쉬었던 게 패착이 될 줄은…”이라며 고개를 떨군다. 이후로도 장동선은 절뚝거리면서 뛰더니, “완주를 못할 수도 있겠다는 공포에 가까운 불안감이 엄습했다”고 고백한다. 과연 그가 이 위기를 극복하고 완주에 성공할 수 있을지, 이번 ‘하프 마라톤’에서의 1위는 누가 차지할지에 관심이 치솟는다. 

 

첫 ‘하프 마라톤’에서 양소영-배윤정의 부활을 위해 더욱더 독하게 뛰는 ‘뛰산 크루’의 레이스 결과는 31일(토) 밤 8시 20분 방송하는 MBN 개국 30주년 특별기획 ‘뛰어야 산다’ 7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경동나비엔,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6개 부문 1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경동나비엔이 ‘2025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6개 부문 1위에 올랐다고 28일 밝혔다. 다년간 수상을 이어온 콘덴싱 가스보일러, 온수매트와 카본매트, 환기청정기, 가스레인지 부문에 이어 전기오븐 부문에서도 새롭게 1위로 선정됐다.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는 한국표준협회와 한국품질경영학회가 공동 개발한 측정 모델

2

부산교통公 이병진 사장 “법안 통과 지지 부탁...도시철도 무임수송제 위기”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부산교통공사를 비롯한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사 대표가 무임수송제도의 근본적 개선을 촉구하며 국회의원과 함께 정부의 책임 있는 결단을 요구했다. 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사대표자 공동협의회는 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 더불어민주당 박홍근·정준호 의원과 함께 도시철도 무임수송제도 개선 촉구 기자회견을

3

교원투어 여행이지, 겨울 몽골여행 기획전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교원투어 여행이지가 몽골 여행 기획전을 열고 동계 시즌 몽골 여행 수요 선점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몽골은 여름철에 해당하는 5월부터 9월 초까지 성수기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동계 시즌에도 몽골을 찾는 여행객이 늘고 있는 추세다. 실제 올 4분기 몽골 패키지 예약률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증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