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정진성 기자] 현대위아는 지난 15일 경상남도 창원시 현대위아 본사에서 한국전력기술‧한전KDN‧토리스스퀘어와 ‘국가기반시설 침입 불법 드론 대응 통합솔루션 기술개발 및 사업화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 |
▲ 왼쪽부터 김종수 토리스스퀘어 대표, 김용수 한국전력기술 전력기술연구원장, 윤흥구 한전KDN 부사장, 이호영 현대위아 상무. [사진=현대위아] |
불법 드론으로부터 국가기반시설을 보호하는 ‘안티 드론 통합솔루션’의 ▲기술개발 ▲사업화 ▲안티드론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 관리 ▲수출 협력 등을 함께 한다는 내용의 협약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현대위아 이호영 상무와 한국전력기술 김용수 전력기술연구원장, 한전KDN 윤흥구 부사장, 토리스스퀘어 김종수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현대위아는 이번 MOU에 따라 민간 국가기반시설인 원전 등에 침입하는 불법 드론에 대응하는 ‘대 드론 통합 방어체계(ADS)’ 기술 개발에 나서게 된다. 특히 국내에서 처음으로 원전의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ADS를 개발하게 된다.
현대위아는 불법 침입 드론으로부터 원전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쉘터를 이용한 고정형 ADS를 개발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한국전력기술과 함께 ‘원전 건설 및 운용에 관한 국제 표준규격(ISO)’ ADS 표준안 제정에 협력할 계획이다. 한전KDN과는 불법 드론 대응 통합관제 솔루션과 물리 보안시스템의 연계 기술 개발을 함께한다.
현대위아는 국내 최초로 개발한 ‘하드 킬(Hard-Kill)’ ADS를 기반으로 원전 상황에 맞게 기술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하드 킬 ADS는 원격사격무기통제체계(RCWS)로 40㎜ 공중폭발탄과 스트리머탄 등을 발사해 드론을 직접 요격할 수 있도록 만든 체계다. 현대위아는 여기에 전파를 교란해 드론을 격추하는 ‘소프트 킬’ 방식도 더할 계획이다. 또한 레이더와 광학 장치 등을 이용한 드론 탐지 및 추적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