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사상 첫 7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3.25%→3.5%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1-13 09:55:47
  • -
  • +
  • 인쇄
고물가 속 경기둔화 우려...한미 금리차 부담 '베이비스텝'
10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처음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포인트) 올렸다. 지난 4월 0.25%p(포인트) 인상 이후 사상 처음 7회 연속 인상이다. 

 

다수 시장 전문가들은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5%에 이르고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1.25%p까지 벌어져 있기 때문이다. 

 

▲ 한국은행은 13일 기준금리를 0.25%p 올렸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p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지난해 4월, 5월, 7월, 8월, 10월, 11월에 이어 7회연속 기준금리가 인상됐다. 물가 상승과 금융 불균형 심화, 미국의 '빅스텝'결정과 조기 긴축정책 움직임이 금리인상으로 이어졌다.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고 미국과의 금리격차 확대도 우려되는 부문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6월 6.0%, 7월엔 6.3%로 고점을 찌고 상승폭이 둔화했지만 작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109.28)는 1년 전보다 5.0% 올라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향후 1년간의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아직 3%대 후반(2022년 12월 3.8%)으로 높은 수준이다.


다만, 환율이 1240원대로 낮아지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고,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도 영향을 미쳤다. 전날 미국 증시는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상승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는 5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이번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현재 연 4.25~4.5%인 미국과의 금리차가 0.75~1.0%p로 좁혀지게 됐다. 

한미 금리 역전폭이 확대되면 국내 증시와 채권 시장 등에서 외국인 자본이 유출될 수 있다. 원화 약세가 다시 심화될 수 있고, 이는 수입물가 상승을 통해 국내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게 된다.

 

향후 한은의 금리 인상 수준이 최종적으로 3.50%에서 멈출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 부담이 있지만 여전히 한미 금리차가 최대 1%포인트에 이르는 데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이를 따를 수 있는 만큼 상반기 3.75%까지 더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크래프톤, 지스타 2025 현장 프로그램 발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크래프톤은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 2025’에서 관람객을 위한 다양한 현장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크래프톤은 출품작 ‘팰월드 모바일(Palworld Mobile)’의 인게임 요소를 부스 전반에 반영해 테마파크형 공간 연출을 선보인다. 관람객은 놀이

2

교원그룹, 창립 40주년 기념식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교원그룹은 창립 40주년을 맞아 서울 종로구 교원 챌린지홀에서 기념식을 열고, 지난 40년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미래 50년을 향한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장평순 회장을 비롯해 임직원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인연이 만든 오늘, 교원이 여는 미래’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됐다.창업주 장평순 회장은 기념사를

3

이동환 고양시장, 2개월 연속 1위…‘K-브랜드지수’ 경기도 지자체장 부문 최정상 수성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경기도 지자체장 부문 1위에 이동환 고양시장이 선정됐다고 3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