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인플레이션 우려에 하락 마감…다우 1.36%↓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5-12 08:53:19
  • -
  • +
  • 인쇄
세계 경제 지표 개선에 인플레이션 가속화 가능성
연준 “인플레이션 길어지지 않을 것, 인내심 갖고 집중"
▲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연합뉴스]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우려에 하락세로 마감한 가운데, 다우지수는 지난 2월 26일 이후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3.66포인트(1.36%) 하락한 3만 4269.16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6.33포인트(0.87%) 내린 4152.1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43포인트(0.09%) 떨어진 1만 3389.43으로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유럽과 중국 등 전 세계 경제 지표가 개선되고 있다는 소식에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일부 투자자들은 이 같은 인플레이션 상승이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조기 긴축을 앞당길 수 있다고 염려했다. 특히 다음날 발표되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공포가 재부상할 것을 걱정했다.

연준 위원들은 이날 일제히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일시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고용률이 높아지고 인플레이션 압력도 오르겠지만, 인플레이션이 길어지진 않을 것”이라며 "인내심을 갖고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인 2%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보이면 행동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은행 총재도 “아직은 통화정책 지원을 철회할 이유가 없다”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 연준은 목표에 미달했던 기간을 만회하기 위해 2% 목표치를 넘는 인플레이션을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주요 기술 기업들은 큰 변동성을 보였다.

애플 주가는 장중 3% 이상 급락했다가 오후 들어 낙폭을 줄여 0.74% 내리며 마감했다. 아마존 주가는 장중 2%가량 하락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 전환하며 1.05% 올랐다. 테슬라 주가는 장중 5% 이상 급락했으나 장후반에 낙폭을 만회하며 1.88% 하락 마감했다.

노바백스는 미국과 유럽 당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긴급 승인 신청을 3분기로 늦추겠다고 밝히며 주가가 13.91% 하락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독서와 함께하는 휴식 공간 "제네시스, 부산국제영화제서 브랜드 공간 운영
[메가경제=정호 기자] 제네시스 브랜드가 부산 영화의전당 일대에서 진행되는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에 후원사 중 최대 규모의 브랜드 공간인 <제네시스 퍼블릭 부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18일부터 25일까지 운영되는 <제네시스 퍼블릭 부스>는 씨네 라이브러리 더 사운드 트랙 인터뷰 룸 시네마틱 스튜디오로 구성됐으며, 관객들이 다양한

2

쿠팡, 안동시와 업무협약…"지역 소상공인 온라인 진출 도와"
[메가경제=정호 기자] 쿠팡이 안동시와 손잡고 지역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 확대와 매출 증대를 위한 상생 협력에 나섰다고 18일 밝혔다. 전날 오후 5시, 쿠팡 본사 사옥에서 열린 업무 협약식에는 박대준 쿠팡 대표이사, 김형동 국회의원(경북 안동시/예천군), 권기창 안동시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안동 지역 소상공인의 온라인 진출을 지원하고, 디지털 유통

3

"퇴근 후 2시간 커리어 역전" 잡코리아, 개발·PM·디자이너 밋업 개최
[메가경제=정호 기자] AI·데이터 기반 HR테크 플랫폼 잡코리아가 ITž테크 업계 담당자를 대상으로 ‘퇴근 후 밋업: AI로 다시 만드는 커리어’ 오프라인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잡코리아는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일하는 방식과 직무 요건이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업계 담당자들이 AI 시대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