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주요기업 호실적·경제지표 호조 상승 마감···S&P500 사상 최고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4-30 08:59:43
  • -
  • +
  • 인쇄
애플, 페이스북 어닝서프라이즈
▲ [사진=연합뉴스]

 

뉴욕증시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긍정적으로 나오고 경제 지표도 호조를 보이면서 상승 마감했다.

29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9.98포인트(0.71%) 상승한 3만 4060.36으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8.29포인트(0.68%) 오른 4211.4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1.52포인트(0.22%) 상승한 1만 4082.55로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S&P500지수는 4200선을 넘기며 최고점을 기록했다.

전날 장 마감 뒤 실적을 발표한 애플과 페이스북 등 빅테크(대형기술) 기업들의 깜짝실적이 이날 지수 전체를 끌어올렸다.

애플은 전날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3.7%(895억 8000만 달러) 급증했다고 밝혔다. 시장이 예상했던 773억 6000만 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호실적을 바탕으로 배당금을 주당 7% 인상하고, 9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 페이스북은 광고 매출에 힘입어 전체 매출이 48% 증가했다고 밝혀 주가는 7.30% 급등했다.

대표적 자동차 기업 포드는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지만, 세계적 반도체 부족에 따른 감산 전망이 1분기 실적 소식을 압도하면서 9.41% 급락했다. 우버와 리프트의 주가는 임시계약직 노동자를 근로자로 분류해야 한다는 마티 월시 미 노동부 장관의 발언 뒤 각각 6.01%, 9.94% 떨어졌다.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의 호조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올라갔다.

상무부에 발표에 따르면 미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연율 6.4%를 기록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대유행 직후 기저효과로 급반등했던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고 2003년 3분기 이후 최대폭 성장이다.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예상치인 6.5%와도 비슷한 수치다. 고용시장도 회복되고 있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주간 실업 수당 청구는 55만 3000건으로 전주보다 1만 3000건 감소하며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최저치다.

취임 100일째의 조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저녁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2조 달러의 인프라 투자 계획 추진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에 더해 보육‧교육 관련 분야에 1조 80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미국 가족 계획'도 발표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샤오미코리아, ‘Xiaomi 스토어’ 2, 3호점 동시 오픈 임박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IT 기업 샤오미의 한국 법인 샤오미코리아가 오는 서울 주요 거점인 구의역과 마곡역에 공식 오프라인 매장인 ‘Xiaomi 스토어’ 2·3호점을 동시 오픈하다고 18일 밝혔다. 1호점 ‘Xiaomi 스토어 IFC몰 서울 여의도점’ 런칭에 이어 오는 27일 추가 오픈하는 ‘Xiaomi 스토어 NC이스트폴 구의점()’과 ‘Xiao

2

카카오모빌리티상생재단, '2025 도로 위 히어로즈' 시상식 성료
[메가경제=정호 기자] 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모빌리티상생재단이 ‘2025 도로 위 히어로즈’ 시상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날 시상식에서는 사회와 이웃을 위해 헌신한 택시, 버스, 대리운전 등 모빌리티 산업 종사자 12인이 ‘도로 위 히어로즈’로 선정됐다. ‘도로 위 히어로즈’는 택시, 버스, 대리운전, 배송 및 배달 등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

3

하이트진로, 추석 맞아 '테라 싱글몰트 에디션 선물세트' 출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하이트진로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가치소비 트렌드에 맞춘 ‘테라 싱글몰트 에디션 선물세트’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선물세트는 355ml 캔 8개와 전용잔(425ml) 1개로 구성해 명절 선물의 품격을 더했다. 최근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소비 패턴이 강화되면서 유기농, 무첨가 등 프리미엄 먹거리를 찾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