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 지난해 3분기 당기순익 9399억원…보험손익 개선 영향

문혜원 / 기사승인 : 2025-01-31 10:08:23
  • -
  • +
  • 인쇄
보험손익 5572억원…전년比 46%↑
건강보험 보장성 포트폴리오 강화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교보생명은 지난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9399억원(별도재무제표 기준)의 호실적을 올렸다.  이는 전년 동기(7428억원)와 비교하면 늘어난 수치다. 실적호조 배경은 건강보험 등 보장성보험을 늘리면서 보험손익 면에서 두드러진 성과 덕분이다. 

 

교보생명이 보장성보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보험손익이 개선돼 눈길을 끈다. [사진=교보생명 전경]

 

교보생명에 따르면 보험손익 개선세를 통해 영업이익을 올렸다. 세전이익 가운데 보험손익은 5572억원으로, 전년 동기(3814억원) 대비 46%나 급증했다. 

 

보험사의 영업이익은 크게 보험손익과 투자수익으로 나뉘는데, 보험손익은 보험영업수익에서 보험서비스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으로 보험손익은 보험사업 자체 이익을 나타내는 구조로 보다 명료해지며 보험영업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보험손익 개선세 배경은 건강보험을 비롯한 보장성보험 포트폴리오를 강화한 것이 주효했다. 실제로 지난해 교보생명 포트폴리오 가운데 보장성보험 비중은 크게 늘었으며, 보장성보험 가운데 건강보험의 비중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작년 한 해 동안 교보생명은 건강보험 상품을 연이어 출시했다. 암보험, 뇌·심장보험, 종신보장 건강보험, 맞춤형 종합건강보험, 유병자보험, 암간병평생보장보험 등 건강보험 상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했다.

 

특히, 지난해 7월 출시한 교보암·간병평생보장보험은 6개월간 약 3만2000여 건(유병자보험 포함)이 판매되며 건강보험의 인기를 이끌었다.

 

이에 따라 보장성보험 신계약 월납 규모는 전년 대비 60% 가량 증가했다. 특히, 종신보험뿐만 아니라 암·뇌·심장질환 등을 보장하는 건강보험의 신계약 월납 규모도 전년 대비 150% 가량 늘어 보험손익 증가세에 가장 큰 역할을 했다.

 

보장성 포트폴리오 강화로 인해 보험계약 유지율도 대폭 개선됐다. 지난해 상반기 말 기준 직전 1년간 13회차 유지율은 88.7%로 2023년 말 대비 10%p(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13회차 계약 유지율은 보험 가입 후 매월 보험료 납입이 13회 이상 이뤄진 계약의 비중이다.

 

아울러 교보생명은 올해 종신보험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경쟁력 강화에 초점 맞춰 건강보험 상품 라인업을 다양화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달 중순 경영조직 개편을 통해 상품마케팅실 산하에 별도의 건강보험사업부(건강보험상품담당)를 신설했다. 단순한 상품 출시를 넘어 건강보험 상품 전략부터 상품 개발 및 마케팅까지 전 과정에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경영조직 개편 이후 건강보험 출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치매 치료여정별 맞춤 보장을 돕는 '교보치매·간병안심보험'을 선보였다. 최근에는 종신보험에 3대질환 특화보장을 강화한 '교보3밸런스보장보험'을 내놨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