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 리스크관리시스템 고도화 완료

오민아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9 11:09:11
  • -
  • +
  • 인쇄
시스템 최신화 및 확장 통한 선제적 리스크관리 목적
급변하는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는 2024년 5월, 리스크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기존 시스템 인프라 개선과 신규 업무 화면 개발 등 업무 영역 전반에 걸쳐 이뤄졌으며, 새마을금고는 이를 통해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선제적인 리스크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리스크관리시스템은 시장·신용·ALM·공제·금고리스크 등 새마을금고의 각종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새마을금고 IT센터.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이번 사업을 통해 새마을금고는 기존 소프트웨어(S/W) 버전 업데이트 및 하드웨어 증설, 신규 S/W 도입 등 체계화된 리스크 데이터 관리·배치를 위한 환경을 마련했다. 

 

또한 리스크관리 업무담당자별 의견을 신규 화면 개발 등 시스템 각 부분에 반영하여 리스크관리를 보다 실무적으로 체계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서버 및 DB 이중화로 어느 상황에서든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장애시에도 조기복구를 통해 업무연속성 및 안정성을 확보했다. 

 

리스크관리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데이터 관리이다. 새마을금고 및 중앙회는 이를 위한 통합 RDM(Risk Data Mart)를 구축해 방대한 데이터를 이전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데이터들은 업무 흐름별로 다시한번 검증 작업을 거쳐 향상된 정합성을 갖추게 된다. 

 

이는 정확한 리스크 측정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 데이터를 활용해 금융당국의 요구에 적시 대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새마을금고는 앞으로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체계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마을금고 리스크관리시스템 고도화 사업은 2023년 7월부터 시작하여 안정화기간 1개월을 포함해 총 11개월의 일정으로 진행된다. 2024년 5월 새로운 시스템을 오픈하였으며 2024년 6월까지는 안정화기간을 거칠 예정이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리스크관리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새마을금고 및 중앙회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이번 사업을 통해 급변하는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민아 기자
오민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경동나비엔,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6개 부문 1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경동나비엔이 ‘2025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6개 부문 1위에 올랐다고 28일 밝혔다. 다년간 수상을 이어온 콘덴싱 가스보일러, 온수매트와 카본매트, 환기청정기, 가스레인지 부문에 이어 전기오븐 부문에서도 새롭게 1위로 선정됐다.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는 한국표준협회와 한국품질경영학회가 공동 개발한 측정 모델

2

부산교통公 이병진 사장 “법안 통과 지지 부탁...도시철도 무임수송제 위기”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부산교통공사를 비롯한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사 대표가 무임수송제도의 근본적 개선을 촉구하며 국회의원과 함께 정부의 책임 있는 결단을 요구했다. 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사대표자 공동협의회는 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 더불어민주당 박홍근·정준호 의원과 함께 도시철도 무임수송제도 개선 촉구 기자회견을

3

교원투어 여행이지, 겨울 몽골여행 기획전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교원투어 여행이지가 몽골 여행 기획전을 열고 동계 시즌 몽골 여행 수요 선점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몽골은 여름철에 해당하는 5월부터 9월 초까지 성수기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동계 시즌에도 몽골을 찾는 여행객이 늘고 있는 추세다. 실제 올 4분기 몽골 패키지 예약률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증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