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 자원순환 기부 캠페인 실시···장애인 일자리 지원 기여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8-17 11:34:48
  • -
  • +
  • 인쇄
17일부터 2주간 진행 예정
기부 물품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일터 '굿윌스토어’에서 저렴하게 재판매

새마을금고가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물건 기부를 통해 자원순환과 환경보호에 앞장선다. 또, 기부된 물품은 장애인 일자리 지원과 가계의 경제적 부담완화에 쓰일 예정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임직원들과 미사용 물품 기부를 통해 자원순환과 환경보호에 기여하
고자 '자원순환 Give You(기부) 캠페인'을 17일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자원순환 Give You(기부) 캠페인'은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물품(의류, 생활용품
등)을 기부해 자원 순환 및 환경보호에 앞장서고, 나눔 문화 확산을 통한 새마을금고의 사회
적 책임을 실천하고자하는 친환경 캠페인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임직원들과 미사용 물품 기부를 통해 자원순환과 환경보호에 기여하고자'자원순환 Give You(기부) 캠페인'을 17일부터 추진한다 [그래픽=새마을금고중앙회 제공]

새마을금고 및 중앙회 임직원이 17일부터 2주간 진행할 예정이며, 기부된 물품은 장애
인&비장애인 통합 일터인 ‘굿윌스토어’에서 저렴하게 재판매되어, 장애인 일자리 지원과 가계
의 경제적 부담완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캠페인에 참여한 직원들에게 추첨을 통해 지속사용 가능한 자원순환 마스크 1세트를
상품으로 드린다. 마스크는 ‘MG희망나눔 소셜성장지원사업’을 통해 지원 중인 사회적기업 ‘스
프링샤인(발달장애인 지원 사회적기업)’을 통해 구매하여 자원순환과 함께 사회적 경제 활성화에도 앞장선다.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새마을금고는 지역상생과 이웃사랑의 정신으로 설립된 금
융협동조합이다. 환경을 사랑하고 아끼는 것이 지역과 사회, 이웃과 행복을 지키는 가장 큰 행
동이기에, 새마을금고와 중앙회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각종 친환경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며 “이번에 추진하는 그린MG ‘자원순환 Give You(기부) 캠페인’을 통해 자원순환과 환경보호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라고 취지를 밝혔다.

새마을금고는 각종 그린MG 전략을 추진해 그린경제 전환과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설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사무실에서 발생하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 환경보호에 동참하고자하는 ‘사무실 내 개인컵 사용하기’ 캠페인, 도보 출근을 통해 탄소중립과 대기오염을 예방하는 ‘걷기 좋은 날’ 캠페인 등을 추진한 바 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타임테라스, 10월 한 달간 ‘가을 문화 축제’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타임테라스는 10월 한달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한다고 3일 밝혔다. 먼저 오는 6일부터 매주 주말 오후 2시와 6시 A블록 아트리움에서 ‘테라스 라이브’를 진행한다. 타임테라스의 대표 문화 콘텐츠인 테라스 라이브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으로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이번 공연은 추석 황금연휴에 맞춰 인

2

식품업계, 한가위에 신메뉴와 이벤트 통해 소비자 지갑 연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올해 추석 연휴가 최장 10일에 달하면서 외식·음료 업계가 다양한 신메뉴와 이벤트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업계는 한가위의 전통적인 정취와 현대적인 감각을 결합해, 가족 단위 고객부터 젊은 세대까지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도미노피자는 가을의 제철 맛을 담은 ‘추석 제철 베스트 TOP 4’를 선보였다. 랍스터 슈림프 투움바 피자와 블랙

3

도미노피자, 추석 맞아 '베스트 TOP 4' 피자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도미노피자가 명절 추석을 맞아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도미노피자는 긴 추석연휴와 가을의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추석 제철 베스트 톱 4'를 선보인다. 이번 도미노피자의 톱 4는 새우+고구마 조합인 랍스터 슈림프 투움바 피자 또는 블랙타이거 슈림프에 고구마쥬 엣지를 더한 피자 2종과 고객 커스텀 포테이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