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갤럭시 모바일 기기에 활용하는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이 일반 플라스틱 대비 약 25%의 이산화탄소(CO2) 절감 효과가 있다고 21일 밝혔다.
이 회사는 올해 초 출시한 갤럭시 S22 시리즈와 갤럭시 탭 S8 시리즈,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에 이른바 '유령 그물'로 불리는 폐어망을 재활용한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 |
▲ 인도양 해안에 버려진 폐어망 [사진=삼성전자 제공] |
삼성전자에 따르면 글로벌 안전 인증기관 UL에 의해 진행된 '전과정평가(LCA)' 결과에서 일반 플라스틱(MS-51)을 1톤 생산할 때 4.4톤의 탄소가 발생하는 데 비해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OM-52)의 경우 탄소 배출량이 3.3톤에 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각종 전자제품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1톤을 생산할 때 폐어망을 재활용하면 기존 방식보다 약 25% 탄소 배출 절감 효과를 의미한다고 삼성전자는 분석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S22 등에 사용하고 있는 해양 폐기물 소재는 인도양 인근에서 수집된 폐어망을 활용한다. 이 폐어망을 분리‧절단‧청소‧압출한 뒤 폴리아미드 수지 펠릿으로 가공하고 이를 부품으로 최적화하는 과정을 거쳐서 생산된다.
폐어망은 해양 생물의 생명을 위협하고 산호초와 자연 서식지를 훼손하는 방식으로 자연 생태계를 교란한다고 알려져 있다.
삼성전자는 이렇게 생산된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를 갤럭시 S22 시리즈의 키 브래킷과 갤럭시 S22 울트라의 S펜 커버 내부,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의 터치패드 홀더‧브래킷 내부 등에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 모바일 제품 전 라인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형남 삼성전자 글로벌 CS센터장(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제품 개발에서 폐기까지 환경 영향 최소화를 위해 노력 중이며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해 폐제품 수거와 재활용 확대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