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준 LH 사장 "새 정부의 핵심 정책 차질 없이 수행" 강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난해 직원들의 투기 의혹 사태 이후 내놓은 ‘LH 혁신방안’ 발표 1주년을 맞아 자체적인 혁신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그간 혁신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LH를 향해 강도 높은 개혁을 지시하자 곧바로 입장을 낸 것이다.
▲ LH 진주 본사 전경 [사진=LH 제공] |
LH는 “‘환골탈태’를 위한 강력한 경영혁신을 재다짐하는 한편, 부동산 시장 안정 등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차질없이 수행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6일 밝혔다.
이어서 “외부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한 ESG 경영과 더욱 강력한 자체 혁신방안 이행을 통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기업으로 거듭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3일 이원재 1차관 주재로 열린 ‘LH 혁신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정부의 혁신방안이 발표된 지 1년이 지난 시점에도 아직 완료되지 않은 과제가 있다는 지적과 함께 조속한 이행을 주문하며 LH 경영진의 의지와 책임을 언급한 바 있다.
또 LH 혁신과 관련해 그동안 비정기적으로 개최되던 회의를 분기별로 정례화하고 혁신방안이 조속히 LH에 내재화될 수 있도록 관리하기로 했다.
그러면서 국정과제인 250만 호 공급 등에 LH 역할도 일정 부분 있는 만큼 혁신 과정에서도 LH가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 |
▲ 사진=연합뉴스 |
이에 LH는 지난해 직원 투기 의혹 사태 이후 발표된 정부의 혁신방안을 토대로 재발 방지를 위한 통제장치 구축 등 경영 전반에 대대적인 개혁과 혁신을 단행해 왔다고 밝혔다.
특히 임직원의 부동산 투기와 부정부패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임직원 재산등록, 부동산 신규취득 제한, 직무 관련 부동산 신고, 부동산 거래 관련 국토부 정기조사 및 LH 자체 수시조사 등 강력한 재발 방지 시스템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2급 이상 간부 인건비를 3년간 동결하고, 경상비·업무추진비·복리후생비 등 예산 삭감, 출자회사 정리 등 경영관리를 강화하고, 본사 본부조직 축소와 정원 감축 등 조직과 기능의 슬림화를 통해 핵심 정책 사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부동산 투기 관련자는 직위 해제와 동시에 기본급의 50%를 삭감하고, 기소 시에는 직권면직하는 등 엄중한 인사조치를 실시하고, 취업제한 대상 확대나 퇴직자 수의계약 금지 등 88개의 자체 혁신방안을 마련해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 |
▲ LH 제공 |
한편, LH는 지난해 출범한 ‘LH혁신위원회’를 올해 ‘LH ESG경영혁신위원회’로 확대·개편하고 혁신과제를 추가 발굴해 추진할 계획이다.
‘LH ESG경영혁신위원회’는 기존의 혁신 총괄 기능에 ESG 경영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지난달 26일에는 대전연수원에서 김현준 사장을 비롯해 간부들이 참석하는 ‘2022년 부서장 워크숍’을 열어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대해 공유하고, 이에 대한 추진계획 수립과 함께 구체적인 수행방안을 논의했다.
LH는 부서장들의 의견을 반영해 국정과제 추진방안을 보완하고, 국정과제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 사장은 이번 워크숍에서 “LH는 지난해 투기 의혹 사태 이후 뼈를 깎는 반성과 함께 부정부패 근절을 위한 강력한 혁신·개혁을 추진해 왔고 앞으로도 지속 추진해야 한다”며 “새 정부의 핵심 정책을 차질 없이 수행하고, 혁신과 개혁 추진을 지속해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공기업으로 거듭나자”고 당부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