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근시, 젊은층 황반변성 위험 높인다… 20·30대 환자 3배 증가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8 14:12:45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고도근시 인구 증가와 함께 젊은층에서 황반변성 발병이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황반변성은 망막 중심부의 시세포와 망막색소상피가 손상되며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노화가 주요 원인이지만 근시 인구 증가에 따라 근시성 황반변성이 중요한 황반질환으로 부상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황반변성으로 진료를 받은 20~30대 환자는 2020년 2,046명에서 2024년 6,247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스마트폰·PC 사용 증가와 실내 활동 중심의 생활환경 변화로 근시 유병률이 높아지면서 젊은층에서도 황반부 질환 위험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PC사용 증가로 고도근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고도근시는 안구 뒤쪽이 과도하게 길어지거나 돌출되는 구조적 변화를 유발해 망막과 맥락막을 얇게 만들고, 이로 인해 맥락막신생혈관이나 퇴행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6디옵터 이상 또는 안구 길이 26mm 이상이면 고도근시로 분류된다.

근시성 황반변성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렵다. 중심부에 신생혈관이 생기면 시력저하, 변형시, 중심암점 등이 나타나지만, 근시로 인한 일시적 흐림으로 오인해 병원을 찾지 않는 사례도 적지 않다. 특히 젊은층은 황반변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 정기 검진이 소홀한 편이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전문의들은 고도근시 환자라면 작은 시력 변화라도 놓치지 말고 정기적으로 안저검사, 망막단층촬영(OCT), 안구 길이 검사 등을 통해 망막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시야 중심이 어둡게 보이거나 선이 휘어져 보이는 증상이 생기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

근시성 황반변성은 안구 구조 변화를 근본적으로 되돌릴 치료법은 없지만, 조기 발견 시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사 치료로 신생혈관 누출과 출혈을 억제하고 시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대체로 병변이 작고 치료 반응이 좋아 나이관련 황반변성보다 적은 주사 횟수로 안정화되는 경우도 많다. 반면 치료 시기가 늦어지면 망막 위축이나 반흔이 남아 시력 회복이 어렵다.

라식·라섹 등 굴절교정수술을 받았더라도 망막과 맥락막의 구조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고도근시였던 사람은 여전히 근시성 황반변성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다. 이에 따라 정기 관찰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김안과병원 망막병원 김예지 전문의는 “황반변성은 주로 노화로 발병하지만 근시가 원인이 될 수도 있다”며 “특히 고도근시 환자는 나이에 관계없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도박 빚 막으려 신혼가전 대금 사기…LG전자 대리점 직원 송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예비 신혼부부 등 고객들로부터 가전 구매 대금을 가로챈 뒤 잠적했던 LG전자 대리 판매점 지점장이 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겨졌다. 서울 동대문경찰서는 사기 혐의를 받는 40대 남성 양모 씨를 서울북부지검에 송치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씨는 고객 수십명으로부터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 상당의 가전제품 대금을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경

2

서울디지털대, 남서울대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서울디지털대학교는 지난 17일 남서울대학교와 미래형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민두식 서울디지털대 교수와 백형진 교수, 윤승혜 남서울대 교수 등을 비롯한 학교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적극적인 상호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구체적인 업무협약 내용에는 교재 및 교육과정 공동 개발과 학

3

초기 증상 없는 폐암… 정기 검진이 유일한 예방법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국내 암 사망률 1위인 폐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침묵의 암’으로 불린다. 병이 상당히 진행된 뒤 나타나는 기침·객혈·호흡곤란 등의 증상은 다른 호흡기 질환과 유사해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 의료계는 증상이 없더라도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정기 검진이 생존율을 좌우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최천웅 교수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