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AI 자율제조 확산 위해 전문기업 30곳 선정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0 15:03:22
  • -
  • +
  • 인쇄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 참여 기회 제공
100억 투입해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자동차, 조선, 반도체, 이차전지, 철강 등의 제조 공정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하는 프로젝트에 민간 인공지능(AI) 전문 기업들이 본격 참여한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0일 ‘AI 자율제조 네트워킹 데이’를 열고 제조 현장의 AI 전환 프로젝트 지원 제도를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100개 이상 기업, 연구기관들이 참여했으며, 특히 AI·로봇 등의 기업들은 회사와 기술을 소개한 후 수요기업들과 1:1 미팅도 진행했다.

 

▲ 10월 28일 서울 그랜드하얏트 호텔 그랜드블룸홀에서 AI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이 열렸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는 내년 초까지 ‘AI 자율제조 전문기업’ 디렉토리를 만든다. 이 디렉토리는 산기평 주도로 생기연·전자연·기계연 등 연구기관과 학계, 전문가, 산업계가 조사하여 작성할 예정이며, AI 솔루션 기업, 로봇 기업, SI 기업(시스템 통합) 등 3개 분야별 10개 이내, 총 30개 내의 기업들이 선정될 계획이다.

 

이들 전문기업에는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 참여 기회가 제공된다.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는 산업부가 연구개발(R&D)자금·금융·컨설팅 등을 제공하여 AI로 제조 공정을 개선하는 사업이며, 금년 26개를 시작으로 2027년 200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사업에는 현대자동차, GS칼텍스,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포스코, 에코프로, 대한항공, 코오롱, DN솔루션즈, 삼표시멘트 등 기업들이 참여했다. 향후 선정되는 선도 프로젝트에는 전문기업 참여 여부 등이 평가에 반영되며, AI 전문기업들은 내년부터 1년 기간으로 지원되는 ‘AI 자율제조 미니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AI 전문기업들은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도 참여할 수 있다. 제조 파운데이션 모델은 제조 기업들이 생산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제조에 특화된 파운데이션 모델을 말한다. 산업부와 생기연·전자연 등 연구기관들은 금년부터 총 100억원을 투입해 제조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들고 2026년부터 제조 현장에 보급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AI 자율제조는 우리 기업들에게 선택이 아닌 미래 생존 전략이 되고 있다”고 말하며, “AI 자율제조의 성공적 확산과 AI 전문기업의 기술력 및 역량 강화를 위해 모든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승민 기자
신승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삼성증권, '로보굴링·연금굴링' 투자하면 최대 1만원 지원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증권이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해 포트폴리오를 자문해주는 서비스인 ‘로보굴링’, ‘연금굴링’ 투자 고객을 대상으로 내달 13일까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삼성증권 ‘굴링’ 서비스는 매월 운용보고는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 수시 및 정기로 상품교체, 자산배분 비중 교체 등의 리밸런싱 알림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사후관리

2

NH투자증권, 토스 대출비교 서비스에 주식담보대출 입점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NH투자증권이 금융 플랫폼 ‘토스’가 운영하는 대출 비교 서비스에 국내 증권사 최초로 주식담보 대출 상품을 선보였다고 25일 밝혔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제휴로 토스 이용자들은 보유 주식을 처분하지 않고도 소액 생활자금을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의 모바일 서비스 ‘나무(NAMUH)’ 계좌를 보유한 개인

3

샤오미코리아, 국내 '익스클루시브 서비스 센터' 설립 계획 발표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IT 기업 샤오미의 한국 법인 샤오미코리아가 25일 풀만 앰배서더 서울 이스트폴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동시에 2개의 신규 Xiaomi 스토어 오픈과 익스클루시브 서비스 센터 설립, 그리고 8종의 신제품 출시를 발표했다. 올해 초 법인 설립 당시 “모두를 위한 혁신”이라는 비전으로 고품질, 합리적인 가격, 보증된 서비스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