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6개월간 최다 하자 건설사, 지난 5년은 GS건설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10-17 15:30:48
  • -
  • +
  • 인쇄
계룡건설·대방건설, 5년간 하자 판정 2·3위
현대엔지니어링 하자 판정 건수 118건 최다 '불명예'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최근 6개월 동안 하자 판정 건수가 가장 많았던 건설사는 현대엔지니어링으로 나타났다. 5년 누계 기준으로 하자 판정 1위는 GS건설이 가장 많았다.

 

국토교통부의 ‘주요 건설사별 2024년 하반기 하자 판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6개월간 하자 판정 건수 상위 건설사는 현대엔지니어링이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하자 건수는 118건에 달했다.

 

▲서울 종로구 계동 현대엔지니어링 본사 [사진=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이번 발표에 대해 "오피스텔 1개 단지(1344가구)에서 판정 받은 하자가 117건"이라며 "납품받은 창호의 모헤어 길이 부족, 풍지판 불량 문제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재현건설산업이 92건으로 두 번째로 많았고, 지브이종합건설이 80건을 기록하며 3위를 기록했다. 이어 ▲라임종합건설(76건) ▲삼도종합건설(71건) ▲보광종합건설(59건) ▲시티건설(53건) ▲포스코이앤씨(58건) ▲계룡건설산업(57건) ▲시티건설(53건) ▲대우건설(51건)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부터 최근 5년 누계 기준으로 하면 GS건설이 163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계룡건설산업(590건) ▲대방건설(523건) ▲에스엠상선(491건) ▲대명종합건설(361건) 순이다.

 

이에 대해 GS건설 측은 “2021년 일산 킨텍스 원시티와 평택 센트럴자이 2개 단지에서 샷시 결로로 하자 판정 1517건이 몰린 것”이라며 “하자 보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주택 공급 물량이 많은 건설사에 하자 판정 건수가 많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에 따라 이번 발표부터 하자 판정 비율 상위 건설사 20곳을 공개했다. 하자 판정 비율은 세부 하자 판정 건수를 하자 판정을 받은 단지의 전체 공급 가구수로 나눈 뒤 백분율로 환산한다. 

 

하자 판정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삼도종합건설(887.5%)이었다. 총 8가구를 선보였는데, 하자가 무려 71건 발생했다. 태곡종합건설(657.1%)과 우리피엠씨종합건설(587.5%), 유명종합건설(400%), 라임종합건설(271.4%) 등 뒤를 이었다.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되는 하자 분쟁 사건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2022년과 작년엔 각각 3027건, 3313건에 접수됐는데 올해엔 1~8월에만 3119건이 접수됐다. 연말까지 4679건의 사건이 접수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하자로 판정 받는 비율은 64%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자로 인정된 주요 유형을 살펴보면 기능 불량(14%), 들뜸 및 탈락(12.1%), 균열(10.7%), 결로(8.4%), 누수(7.8%), 오염 및 변색(7.3%) 등 순서로 많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유안타증권, 체크카드 '블랙&핑크' 출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유안타증권은 고객의 소비 생활과 투자 활동을 결합해 캐시백 혜택을 제공하는 '체크카드 블랙&핑크'를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체크카드는 기본적인 결제 기능뿐 아니라 전월 카드 실적 및 주식 매매 금액에 따라 한도 제한 없이 당월 카드 이용액의 최대 0.5% 캐시백을 지급하는 게 특징이다. 전월 카드 이

2

NH투자증권, 신규 펀드 매수 이벤트 진행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NH투자증권은 ‘NH-Amundi 성장주도 코리아[주식]’와 ‘하나 파이팅 코리아(주식)’ 펀드를 매수한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다음달 28일까지 순매수 금액 구간에 따라 추첨을 통해 다양한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한다고 28일 밝혔다. 순매수 금액(매수금액에서 환매금액 차감 기준)별로 △1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인

3

KCC, 동반성장위원회와 ‘협력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CC와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는 28일 대중소기업 양극화 해소를 위한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이하 ‘협약’)을 서면으로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 2022년 첫 체결 후 기간(3년)이 만료되며 진행된 재협약으로, KCC는 향후 3년간 ‘납품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제값 쳐주기·제때 주기·상생결제로 주기) 준수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