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점검회의…"유가 기저효과 주요"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지난 4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했다. 물가가 고공 행진을 보이던 지난해 2월 이후 처음으로 3%대로 물가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근원물가 상승률이 한동안 더딘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서울 한 재래시장. [사진=연합뉴스] |
통계청은 2일 ‘4월 소비자물가동향’을 통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80(2020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7%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전월인 3월 상승률 4.2%보다 0.5%포인트나 하락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2월(3.7%) 이후 가장 낮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15개월 만에 3%대로 하락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2월 3.7% 물가 상승 이후
지난해 4월 4.8%, 5월 5.4%, 6월 6.0%, 7월 6.3%까지 가파르게 치솟은 후 점차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4.6% 올랐다. 식료품과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4.0%를 기록해 전월(4.0%)과 같은 상승 폭을 보였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품목 위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3.7% 올랐다.
물가 상승률 둔화에는 석유류 가격이 내린 영향이 반영됐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16.4% 내려 2월에 이후 석 달째 하락세를 기록했다. 가공식품은 7.9% 올라 여전히 상승률이 높았지만, 전월(9.1%)보다 오름세가 둔화됐다. 반면 농·축·수산물은 1.0% 올랐다. 양파가 52% 가까이 상승하는 등 채소류가 7.1% 급등했지만 국산 쇠고기가 6.7% 떨어지며 축산물 가격이 1.1% 하락했다.
가공식품도 7.9% 올랐지만 9.1% 상승한 지난달보다는 둔화 흐름이 이어졌다. 다만 빵과 과자는 11%대 높은 오름세를 보였다. 전기·가스·수도는 23.7% 상승해 전월(28.4%)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지난달 예정됐던 전기요금 인상 등이 미뤄지고 작년 4월 인상분이 반영되면서 상승률에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반면 개인서비스는 6.1% 상승해 전월(5.8%)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외식은 7.6% 상승했다.
![]() |
▲ 4월 소비자물가 동향. [이미지=통계청] |
한국은행은 이날 당분간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비해 더딘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오전 한은에서 '물가 상황 점검 회의'를 주재하면서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에너지 가격, 가공식품 가격 상승률이 상당 폭 낮아지며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며"근원물가 상승률은 전월 수준인 4.0%를 유지하면서 경직적 흐름을 지속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