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이석호 기자] DL이앤씨는 국토교통부가 발주한 '남해 서면-여수 신덕 국도건설공사(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사업)'의 실시설계적격자 선정 통보서를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 |
▲ 남해-여수 해저터널 위치도 [이미지=DL이앤씨] |
이 사업은 전남 여수 신덕동과 경남 남해 서면을 연결하는 총 8.09㎞의 4차선 국도를 신설하는 프로젝트다. 사업비 규모는 6974억원으로, 해저 분기터널 구간(5.76㎞)을 포함하고 있다.
오는 2031년 준공될 경우 남해-여수 간 이동시간이 기존 1시간 30분에서 10분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DL이앤씨는 이번 입찰 참여업체 중 유일하게 터널 본선 외에 남해군 북측으로 연결로를 신설하는 내용의 제안을 통해 가장 높은 기술 점수를 받았다.
당초 이 사업의 기본 계획은 여수 신덕동에서 남해 서상리를 잇는 남측 단방향 노선이었지만, DL이앤씨는 지역경제 활성화 및 균형 발전을 위해 해저 분기터널로 남해 서북쪽의 남상리를 함께 연결하는 설계안을 제안했다.
DL이앤씨가 싱가포르 마리나 해안고속도로와 신월-여의 지하차도(서울제물포 터널) 시공 경험으로 쌓아온 분기터널 기술 및 노하우를 접목해 남해 남측과 북측 모두 여수와 연결해 관광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고루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DL이앤씨는 해저 분기터널 설계를 통해 터널 시공 막장을 기존 4개에서 8개로 2배 늘려 공기를 13개월가량 단축하고, 유사 시 대피와 구난 등도 수월할 수 있게 했다.
이와 함께 자체 개발한 'BIM(빌딩정보모델링) 터널 설계 패키지'를 통해 차별화한 설계안을 만들었다. AI 기반의 제너레이티브 디자인(Generative Design)으로 해저 지반 조건을 정밀하게 분석한 뒤 최적의 선형을 탐색하고 BIM·지리정보체계 데이터를 활용해 자동으로 터널 발파 설계까지 진행했다.
특히 해외터널의 내화 성능을 높이고 결로를 막기 위해 자체 개발한 국내 최초 단열·내화 콘크리트도 적용하기로 했다. 이 콘크리트를 시공하면 기존보다 열전도도가 40% 감소한다.
권수영 DL이앤씨 토목사업본부장은 "차원이 다른 기술력을 통해 국가와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