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투스 ‘더 워킹데드: 매치 3’ 글로벌 170여 개 지역 출시

이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6 16:06:01
  • -
  • +
  • 인쇄

[메가경제=이준 기자] 컴투스(대표 이주환)는 자사 신작 퍼즐 RPG ‘더 워킹데드: 매치 3’가 전 세계에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더 워킹데드: 매치 3’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와 북미, 유럽 등 전 세계에 걸쳐 170여개 지역에 서비스된다. 워킹데드 IP와 퍼즐 장르의 대중성을 기반으로 전 세계 게이머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글로벌 최고의 퍼즐 RPG’로 선보인다.

 

▲ 컴투스 신작 퍼즐 RPG ‘더 워킹데드: 매치 3’ 대표 이미지.

 

‘더 워킹데드: 매치 3’는 ‘워킹데드’ IP를 활용한 게임으로 컴투스 자회사 노바코어에서 개발했다. 워킹데드는 워커라고 불리는 되살아난 시체들로 인해 문명이 파괴된 세계에서 생존자들이 벌이는 처절한 투쟁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원작은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출간된 로버트 커크만의 그래픽 노블(만화형 소설)이며,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가 만들어졌다.

 

‘더 워킹데드: 매치 3’는 한국어 영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등 10개 언어를 지원한다. ‘릭 그라임스’, ‘네간’ 등 원작 캐릭터가 게임 속에 그대로 등장하며, 원작의 스토리와 주요 장면은 물론 캐릭터의 새로운 이야기까지 코믹스 형식으로 직접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전문 성우 음성을 추가해 캐릭터들의 대사에 생동감을 더하고 유저의 몰입감을 높였다.

 

플레이어는 같은 색의 블록을 3개 이상 연결해야 하는 매치 3 퍼즐을 풀며 전투를 진행하고, 85종의 캐릭터를 성장시키며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재미를 자랑한다. 각 캐릭터는 직업과 속성, 개성 넘치는 스킬 등을 가지고 있다. 

 

적절한 상황과 적 배치, 속성 등을 고려해 최적의 조합을 구성하는 것이 게임 풀이의 핵심이다. 워커를 상대하는 기본 전투 외에도 약점을 공격해오는 적들과 펼치는 강적 전투, 거대한 적과 맞붙는 보스 전투 등 다양한 전투 모드가 준비돼 있으며, PvE, PvP 등 다양한 콘텐츠가 준비돼 있다.

 

컴투스는 ‘더 워킹데드: 매치 3’의 글로벌 출시를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한다. 우선, 게임 내 친구 초대 링크를 이용해 3명의 친구가 게임에 로그인하면 추첨을 통해 아이패드와 스카이바운드 굿즈, 기프트 카드 등 다양한 경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공식 포럼이나 SNS 등에 게임의 초대링크를 포함한 게시글을 업로드 하면, 캐릭터 수색 토큰과 골드 등의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박장대소' 박준형X장혁 "부탁 있으면 말만 하세요" 범접불가 케미 폭발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채널S 신규 예능 ‘박장대소’가 박준형-장혁의 ‘찐친 브로 케미’가 돋보이는 메인 포스터를 전격 공개했다. 오는 10월 29일(수) 저녁 8시 50분 첫 방송하는 채널S ‘박장대소’(제작: SK브로드밴드)는 30년 우정의 ‘절친’ 박준형-장혁이 일반인들의 ‘콜(요청)’을 받아 직접 현장으로 찾아가 해결해주는 리얼리티 예능이다.

2

롯데호텔앤리조트, 신규 '호텔롯데 금액 상품권 2종' 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호텔롯데는 점점 다양해지는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을 반영해, 호텔롯데의 3개 사업부 롯데호텔앤리조트, 롯데면세점, 롯데월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호텔롯데 금액 상품권’을 선보인다고 밝혔다.이번에 선보인 호텔롯데 금액 상품권은 30만원권과 50만원권 두 가지로 구성됐으며, 하나의 상품권으로 숙박, 쇼핑, 테마파크까지 자유롭

3

넥써쓰, 크로쓰x 스테이블코인 테더-게임토큰 거래쌍 도입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30일 넥써쓰 관계자에 따르면 넥써쓰가 블록체인 통합 앱 크로쓰x(CROSSx)에 테더(USDT)와 게임토큰 거래쌍을 새롭게 도입한다. 기존의 크로쓰 토큰($CROSS)과 게임토큰 거래쌍 외에 테더를 활용해 직접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이번 거래쌍 도입은 이용자 편의성과 접근성 확대를 위한 조치다. 스테이블코인인 테더를 통해 별도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