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자본확충 총력...페퍼저축은행 200억 추가 유상증자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저축은행 자산건전성 악화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내달 금융당국의 적기시정조치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형 저축은행이 포함될 수 있다고 보고 자본확충을 위한 유상증자와 PF 정리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 |
▲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저축은행 자산건전성 악화가 장기화되는 와중 내달 금융당국의 적기시정조치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형 저축은행이 포함될 수 있다고 보고 자본확충을 위한 유상증자 및 PF 정리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사진= 저축은행중앙회] |
1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내달 금융위원회는 정례 회의를 열고 저축은행 경영실태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당국은 경영실태평가를 통해 건전성 관리가 시급한 저축은행에 경영 효율화, 건전성 개선 등을 위해 부과하는 적기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다. 적기시정조치는 경영개선권고와 요구, 명령 등으로 나뉘는데, 명령의 경우 당국이 영업정지뿐만 아니라 합병, 인수까지 통보 가능하다.
금융위는 지난해 12월 안국저축은행과 라온저축은행에 적기시정조치 경영개선권고를 부과하고 부실 PF 정리 등 건전성 관리를 요구한 바 있다.
다만 이번에는 대형 저축은행도 적기시정조치를 피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OK저축은행(16.66%) ▲웰컴저축은행(14.97%) ▲페퍼저축은행(21.81%) ▲신한저축은행(10.0%) ▲상상인저축은행(17.61%) 등 상위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두 자릿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건전성 우려에 페퍼저축은행은 지난 10일 자본확충을 위한 2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국이 규모와 상관없이 건전성 지표를 기반으로 적기시정조치를 내릴 가능성이 높다”며 “경영개선권고 차원에서 실제 제재를 가하지 않는다 해도 연체율이 높아진 상황에서 대형 저축은행이 받는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
한편 정부는 이르면 이달 말 저축은행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수도권 인수합병(M&A)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매처를 늘려달라는 목소리도 있다. 지난 2월 6일 저축은행중앙회가 대형 저축은행 9곳의 영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연 간담회에서는 부실 PF 매매처 확대 관련 내용이 집중 언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경기 둔화의 여파로 건전성 지표 개선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현재로서 부동산PF에 대한 경·공매를 진행한다고 해도 수요가 많지 않아 제대로 이뤄지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영업 구역에 대한 M&A 규제가 풀리지 않는 상황에서 OK저축은행과 상상인저축은행 같이 특수한 이해관계가 맞지 않으면 대형화를 위한 인수 추진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