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면세점, 온라인몰에 ‘꽁떼비갤러리’ 전용관 오픈

심영범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7 17:03:36
  • -
  • +
  • 인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면세점은 온라인몰에 컨템포러리 갤러리·리빙아트 셀렉숍 ‘꽁떼비갤러리(ConteB)’ 전용관을 새롭게 오픈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전용관 오픈은 쇼핑과 문화 예술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아트브랜딩 전략의 일환으로, 국내외 고객들이 온라인을 통해 보다 쉽게 현대미술을 접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 [사진=신세계면세점]

 

꽁떼비갤러리는 서울 한남동 사운즈 한남에 위치한 컨템포러리 아트 갤러리로, 다양한 장르의 동시대 작가들을 소개하며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예술을 새로운 방식으로 대중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작품의 고유한 이야기를 큐레이션 해 관람객에게 전달하고, 공간과 조명 등 감각 전반을 활용한 몰입형 라이프스타일 경험을 제안한다. 동시에 신진 작가들의 미술시장 진입을 지원하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에도 힘쓰고 있다.

 

신세계면세점 온라인몰에서 공개된 작품은 작가 킬드런의 신작이다. △‘Ylang Ylang 1·2’, △‘ILYSB (I Love You So Bad)’ 등 총 3점이다. 킬드런은 음악과 영화를 주요 영감으로 삼아 회화, 조형, 디지털 작업까지 장르를 확장해온 동시대 아티스트다. 방탄소년단(BTS)과 GD 등 글로벌 아티스트와 협업하고 나이키, 삼성, 롯데 CU 등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대중문화와 미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작품 ‘Ylang Ylang 1·2’는 뮤지션 FKJ의 곡 Ylang Ylang에서 영감을 받아 진정과 평온, 따뜻한 향기를 담아낸 여성의 모습을 표현했으며, ‘ILYSB’는 밴드 LANY의 동명 곡에서 착안해 순간적인 사랑과 설렘을 간결한 선과 색감으로 형상화했다.

 

이번에 출시된 모든 작품은 작가의 친필 사인이 들어간 한정 수량 스페셜 에디션이다.

 

신세계면세점의 아트브랜딩 스토리와 킬드런의 작품 세계, 그리고 이번 협업의 배경은 신세계그룹 뉴스룸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오는 10월에는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10층 아이코닉존에서 작가의 작품을 미디어아트로 선보일 예정이며, 이어 10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는 한남동 사운즈 한남 내 꽁떼비갤러리에서 킬드런 특별 초대전이 진행된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이번 온라인몰 전용관 오픈은 국내외 고객들에게 예술의 일상화를 더욱 폭넓게 경험할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고객이 공감할 수 있는 차별화된 아트 콘텐츠를 지속 선보이고, 특별하고 기억에 남을 쇼핑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