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 캐나다 겹호재 개발사와 블록체인 게임 계약...위믹스 거래소 상장

이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09 17:27:35
  • -
  • +
  • 인쇄

[메가경제=이준 기자] 위메이드(대표 장현국)가 캐나다 개발사 투티지 엔터테인먼트(2TG Entertainment)와 블록체인 게임 2종 온보딩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또한 위믹스(WEMIX)는 10일(한국 시각) 캐나다 가상자산 거래소 ‘비코노미(Biconomy)’에 상장한다.

 

▲ 이미지=위믹스

 

투티지 엔터테인먼트는 '투 더 그레이브: 더 배틀 포 파에노라(To The Grave: The Battle For Faenora)'와 '투 더 그레이브: 더 와일드랜즈 오브 파에노라(To The Grave: The Wildlands of Faenora)'를 내년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에 출시할 계획이다. 

 

‘투 더 그레이브’ 시리즈 2종에서는 NFT를 발행해 다른 게임에서 활용하는 ‘인터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

 

'투 더 그레이브: 더 배틀 포 파에노라'는 중세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한 실시간 전략 RPG다. 30가지 이상의 직업과 기술, 장비를 전략적으로 조합해 군대를 구축하고 전쟁을 즐길 수 있다.

 

'투 더 그레이브: 더 와일드랜즈 오브 파에노라'는 픽셀 아트 그래픽이 특징인 로그라이트(Rougelite) RPG다. 이용자는 전투에 참여해 야수를 사냥하면서 캐릭터를 성장시킬 수 있다.

 

투티지 엔터테인먼트 CEO 네이선 몽고메리는 “이용자들은 자신의 캐릭터를 다양한 게임에서 사용하는 특별한 경험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며 “혁신 기술로 시장을 이끌고 있는 위메이드와 함께 블록체인 게임이 가진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어 기쁘다”고 전했다.

 

위메이드는 전 세계 다양한 개발사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다채로운 장르 블록체인 게임 100개 종 이상을 위믹스 플레이 라인업으로 확보했다.

 

위믹스는 캐나다 가상자산 거래소 ‘비코노미’에 상장한다. 비코노미는 2019년 설립된 가상자산 거래소로, 캐나다 정부의 정식 인가를 받았다. 현물 및 파생상품 거래, 스테이킹, 벤처 캐피털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비코노미는 미국 재무부가 발급한 금융 및 국제 가상자산 표준 라이선스 MSB를 획득하는 등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갖췄다. 한국과 미국을 비롯해 일본, 영국,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에 지사를 설립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위믹스 팀은 글로벌 주요 거래소 상장을 통해 위믹스 생태계 저변을 지속 확장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넥써쓰, 크로쓰x 스테이블코인 테더-게임토큰 거래쌍 도입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30일 넥써쓰 관계자에 따르면 넥써쓰가 블록체인 통합 앱 크로쓰x(CROSSx)에 테더(USDT)와 게임토큰 거래쌍을 새롭게 도입한다. 기존의 크로쓰 토큰($CROSS)과 게임토큰 거래쌍 외에 테더를 활용해 직접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이번 거래쌍 도입은 이용자 편의성과 접근성 확대를 위한 조치다. 스테이블코인인 테더를 통해 별도의

2

KB금융,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 실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금융그룹은 지난 28일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과 체계적인 산업 재해 예방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캠페인은 언어·문화적 차이로 안전수칙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KB금융은 이번 부산 지역 안전교육을 시작으로 올

3

NH농협은행, 외국인 근로자 위한 'NH K-외국인신용대출'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NH K-외국인신용대출'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상품은 지난 25일 출시한 NH글로벌위드 패키지의 후속 상품으로 해외인력 유입 증가에 따른 금융 수요에 대응하고, 외국인 고객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대출대상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