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KB국민은행, 소호 대출성장 고삐 죈다! 회수비율 대폭 상향 왜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03-21 09:04:16
  • -
  • +
  • 인쇄
우량 상권 담보회수 한도 목표액 확대 조정 시행
소상공인 지원확대 제시 일환, 신규 개인사업자 대상
부동산 대출 경쟁 강화, 지역별 편차 외곽 소홀 우려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KB국민은행이 최근 신규 민간 사업장 대상(개인사업자 및 법인)의 대출 지원 감정가를 종전비율보다 대폭 확대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메가경제 취재 결과 확인됐다. 

 

이는 우량지역 중심으로 소호(SOHO)대출 여신을 늘려 영업볼륨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 KB국민은행이 소호대출 여신 확대를 위해 우량상권 중심으로 담보회수비율을 높이기로 했다. 이는 KB금융 양종희 회장의 '기업가형 소상공인 지원 강화와 수익률 다각화 모색'이라는 경영 전략 제시 방안의 한 축으로 풀이된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본점. [사진=KB국민은행]

 

21일 금융권과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기업형이 아닌 소매형 소호(자영업자) 대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지역별 담보회수비율 확대 조정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일종의 소호 대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나서 "수익률 창출에 기여하겠다"라는 은행의 관련 전략부에서 추진한 것으로 알려진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20일부터 우량산업단지나 우수상권 중심으로 담보회수비율을 높여주는 방안을 시행하기로 했다"라며 "소상공인이나 우수 자영업자 대상으로 대출 지원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복수의 국민은행 내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우선 강남·양재·압구정 등 우량지역 상권 중심으로 담보회수비율 평균경각가 70%이상 확대 조정한다. 회수비율 70%라면 실제 은행이 상권에 대한 경매 등을 통해서 7000만원까지 회수가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뜻한다.

 

국민은행 내부 한 관계자는 "기업 중심 성장 전략을 내세운 KB금융그룹 전략 아래 가계대출 한계, 기업금융 육성'주문을 지속적으로 한 영향이 크다"면서 "지난 2022년 하반기 들어 서울 강남에 집중됐던 기업대출 역량을 전국으로 확장했다. 올해 역시 이런 최고경영자(CEO) 천명에 따른 본사 주도의 적극적인 육성 전략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담보회수비율은 과거에는 목표가 40~50%수준에서 머물러 있었다. 최근 들어 최고 약 20%이상 상향하겠다는 것은 최근 사업하는 투자자들이 상업용 부동산 수요로 몰리면서 상가나 개인사업장 중심으로 담보회수비율을 높여 부동산 매매 활성화에도 나서겠다는 뜻으로도 분석했다. 

 

담보회수비율은 금융당국기준에서 정한 LTV(담보인정비율 : 서울 등 규제지역의 경우 40~60%)한도 내에서 은행 자체적으로 정할 수 있다. 그동안 은행권은 여신 회수를 위해 담보인정비율(LTV)을 보수적으로 관리해 왔다. 

 

담보회수비율은 은행이 돈을 빌려준 채무자 대상(개인, 사업자 등) 원리금 상환을 위해 담보물을 처분해 채권 회수를 받는 비율을 뜻한다. 고객의 담보력, 신용, 상환력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결정되는데, 비율은 지역·구마다 편차가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은 담보로 잡은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가면 얼마나 회수할 수 있는지 보고 담보비율을 결정하는데, 그것을 담보회수비율이라 칭한다"라고 설명했다.  

 

은행권 안팎에서는 KB국민은행이 소호대출 늘리기에 집중하는 까닭에 대한 이러한 분석도 나온다. 은행 자금운용 중심에 있는 펀드상품 판매 위축·PF부동산 대출 위기 등으로 자금운용의 어려움 속에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정책까지 겹쳐지자 포화된 경쟁력 속 안정대출 사업으로 여겨지는 소호대출 중심 영업확대로 방향을 튼 게 아니냐는 얘기다. 

 

소호대출은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수익성도 높은 편이다. 동시에 정부가 독려하는 중기대출 잔액에도 집계돼 은행으로서는 수익률 창출에 안성맞춤 상품으로 통한다. 

 

다만 일각에서는 우량상권 중심으로 담보회수비율을 높이게 되면, 외곽지역의 경우 상업대출 관련 대출 문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조성할 우려도 있다고 지적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지역 규모에 따른 회수담보비율 차이는 차별화적인 정책”이라며 “취약한 지역 위주 상권 활기를 독려하는 방안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은행은 작년 9월 말에는 약 88조원의 소호 대출을 취급했다. 12월 말에는 증가폭이 2.5%확대됐다. 이는 타 은행보다 소폭 높은 수준으로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의 경우 각각 1.9%에 그쳤다. 대출 잔액은 국민은행이 89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각각 65조7323억원, 59조5940억원을 기록했다.

 

국민은행은 지난 2020년부터 소기업·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 대출인 소호(SOHO) 대출을 적극 취급해 왔으며 2022년에는 담보평가·심사시스템 등을 바탕으로 건전성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예스골프, 파크골프채 ‘마에스트로’ 출시…초경량 카본 샤프트-인체공학적 그립 적용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예스골프가 프리미엄 파크골프채 ‘마에스트로(MAESTRO)’를 공식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마에스트로’는 예스골프의 골프 클럽 제작 노하우를 집약한 제품으로, 519g의 초경량 카본 샤프트를 적용해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가벼운 스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경량화와 함께 성능도 놓치지 않았다. 헤드에 집중된 무게중심 설

2

뉴비즈원, '현장관리 전문팀' 신설… "차별화된 전문가 투입으로 아웃소싱 경쟁력 강화"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리테일 아웃소싱 전문기업 ㈜뉴비즈원이 자사 아웃소싱사업본부 내에 '현장관리 전문팀'을 신설하고, 대기업 리테일 현장 전문가를 영업부문에 영입하는 등 조직 개편을 통해 현장 중심의 전문 인력 관리 시스템을 대폭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급변하는 리테일 시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객사에 한 차

3

SKT, '2700만 고객정보 판매' 해커 주장에 "사실 무근"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이 국제 해킹조직이 자사 2700만명의 고객 데이터를 판매한다며 해킹을 주장한 부분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며 일축했다. SK텔레콤은 16일 "해커가 주장한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다크웹(텔레그램)에 올린 샘플데이터, 웹사이트 캡처 화면, FTP 화면 등을 분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