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3' 유세윤, 이집트서 '4월 결혼' 티아라 효민 연락에 기세등등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0 09:53:05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즈’가 이집트 카이로에서 아스완으로 기차를 타고 이동하는 가운데, ‘슬리핑 기차값’을 두고 열띤 논쟁을 벌인다. 

 

▲'독박즈'가 이집트 아부심벨 신전을 보기 위해 아스완을 방문한다. [사진='독박투어3']

 

22일(토) 저녁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채널S, SK브로드밴드, K·star, NXT 공동 제작) 26회에서는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이집트 카이로 투어를 마친 뒤, 아부심벨 신전을 보기 위해 아스완으로 향하는 모습이 펼쳐진다.

 

이날 ‘독박즈’는 이집트 한식당에서 거한 식사를 마친 뒤, 3일 차 숙소 예약자인 홍인규에게 “숙소는 어디에 잡았어?”라고 묻는다. 홍인규는 “형들이 ‘아부심벨 신전’을 보고 싶다고 해서 그 근처로 예약했다”고 운을 뗀 뒤, “근데 좀 멀다. 슬리핑 기차를 타고 16시간을 가야 한다”고 밝힌다. 카이로에서 무려 1160km나 떨어진 먼 거리에 화들짝 놀란 장동민은 “우리가 한국에서 비행기를 17시간 타고 왔는데, 또 16시간을 가야 해?”라며 한숨을 쉰다. 반면 김대희는 “이게(슬리핑 기차) 숙박비이야, 교통비이야?”라고 기차 비용 내기 독박 게임을 앞두고 의문을 제기한다. 김대희와 홍인규, 유세윤이 “숙박비 아닌가?”라고 주장하는 가운데, 장동민은 “당연히 교통비지!”라고 맞선다. 

 

계속되는 ‘갑론을박’에 유세윤은 “그러면 내 SNS에 ‘숙박 VS 교통’ 중 뭐가 맞는지 설문 조사를 해보자”고 제안한다. 이에 ‘독박즈’는 “기차에서 내릴 때 투표 결과를 확인하기로 하고, 각자 소신껏 투표해 (투표 결과를) 맞힌 사람을 독박에서 제외시키자”고 합의한다. 이후 바슈틸 역에서 ‘슬리핑 기차’를 탄 ‘독박즈’는 1인실과 2인실을 둘러보는데, 장동민은 “이게 뭐야? 여기서 16시간을 있어야 한다고?”라며 급발진하더니 카메라를 냅다 던진다. 반면 홍인규는 “그래도 커넥팅 룸이야~”라고 긍정 회로를 돌리고, ‘맏형’ 김대희와 김준호는 “답답해서 죽을 것 같다”며 고통을 호소한다.

 

좁은 기차에서 겨우 잠이 든 ‘독박즈’는 다음 날 아침이 되자, 설문조사 결과를 두고 궁금해한다. 이때 유세윤은 “내 SNS에 많은 분들이 연락을 주셨는데, 티아라 효민이도 ‘그게 교통비면 (기차에서) 자지 마!’라고 하더라”며 ‘숙박비’의 승리를 점친다. 효민의 지원사격에 기세등등한 유세윤이 과연 ‘깻잎 논쟁’ 뺌치는 ‘슬리핑 기차’ 논쟁에서 ‘승자’가 될 수 있을지 궁금증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현대해상, ‘아이마음 놀이터’ 건립·운영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현대해상화재보험은 영등포구청, 사회적기업 코끼리공장, 사단법인 루트임팩트와 ‘어울숲 문화쉼터×아이마음 놀이터’ 건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이마음 놀이터’는 현대해상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새롭게 추진하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지자체와 협력해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열린 커뮤니티 공간

2

NH농협은행,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 도입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디지털 금융환경 변화에 발맞춰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펀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영업시간이나 요일에 관계없이 모바일과 인터넷뱅킹을 통해 펀드 신규와 추가입금 거래를 할 수 있게 됐다. 시간 제약없이 펀드 거래가 가능해지면

3

IBK기업은행, IBK창공 룩셈부르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성료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유럽 진출을 희망하는 혁신·벤처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운영한 2025년 ’IBK창공 유럽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in 룩셈부르크’를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6월 주한 룩셈부르크 대사관과 체결한 ‘혁신창업기업의 유럽진출 지원’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혁신창업기업의 투자유치 기회 제공과 현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