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이종빈 기자] 문재인 정부의 주거정책이 부동산 안정, 주거복지 강화 등의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정교한 제도 정비 등을 통해 정책 효과를 키우고 내실을 다져야 한다는 조언도 제기됐다.
국토교통부와 국토연구원이 2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문재인 정부 주택정책 2년의 성과와 과제' 정책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대체로 '9·13 부동산대책' 등 잇단 안정책으로 부동산 가격 추가 급등을 막은 사실을 가장 중요한 성과로 꼽았다.
기조 발제자로 나선 서순탁 서울시립대 총장은 서울을 중심으로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주택매매 가격이 9·13 대책 이후 안정세로 전환됐다고 평가했다. 발제문에 따르면 전국 주택매매가격 변동률은 2017년 1.48%에서 2018년 1.1%로 낮아졌고 올해 들어 4월까지 누적 기준으로 -0.63%까지 떨어졌다.
![[사진 = 연합뉴스]](/news/data/20190528/p179565905770282_527.jpg)
서울의 경우 지난해 9월 1.25%였던 변동률은 같은 해 12월과 올해 4월 각 0.04%, -0.18%로 내려앉았다.
서 총장은 장기적 분석에서도 한국의 주택가격은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해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실질 주택매매가격 변동률은 0.9%로, OECD 평균(14.4%)과 비교해고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서 총장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의 기록을 따져봤을 때, 런던(39.6%)·베를린(63.1%)·시드니(54.8%)·상하이(52.5%) 등 세계 주요 도시의 주택매매가격 변동률이 서울(18.9%)을 크게 웃돌았다고 설명했다.
서 총장은 발제문에서 주거복지 정책의 성과도 기대했다. 2015년 기준 6.4%에 불과했던 공공임대주택 비율이 2017년 7.2%로 높아졌고, 향후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계획대로 확대되면 2022년에는 OECD 평균(8.7%)을 넘어설 수 있다는 예상이다.
박천규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장은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주택시장 변화 및 향후 정책 방향' 발표문에서 "9·13 대책 이후 서울 주택매매 시장은 확장 국면에서 둔화 국면으로 전환됐다"고 진단했다.
박 센터장은 올해 하반기 주택시장 역시 하락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올해 전체로는 전국 주택매매가격이 시나리오에 따라 연간 1.1∼1.9% 떨어진다는 관측을 내놨다.
또한 지난해 12월 일반 가구(2000명)와 전문가(86명)를 대상으로 진행한 '주택시장 정책 인식 조사' 결과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일반 가구의 40.7%, 전문가의 61.7%가 "정부 주택시장 정책이 시장 안정에 효과가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 정책 중에서는 일반 가구의 59.3%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강화'를, 전문가 91.9%는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를 가장 효과적 부동산 시장 안정 정책으로 꼽았다.
다만 이날 행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정부 부동산 정책의 미흡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상영 명지대 교수는 지역별 '맞춤형' 주택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교수는 서울의 경우 최근 입주 물량이 적고 기존 재개발·재건축에 따른 멸실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단기적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반대로 경기·지방의 경우 경기 후퇴기 입주 물량이 급증하는 '공급 과잉' 상태이므로 규제완화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혜승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거 취약계층이 여전히 존재하며 수요자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공공성 구현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존 주거복지정책과 전달체계의 비효율성 등을 문제로 인식하고 청사진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