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드국제공항, 우수한 운영성과에 빛나는 개항 10주년 기념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5-31 07:25:20
  • -
  • +
  • 인쇄
카타르의 심장, 지난 10년간 3억 2510만명 이용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하마드국제공항(DOH)이 개항 10주년을 맞았다. 지난 10년 간 하마드국제공항은 스카이트랙스(SKYTRAX)가 주최하는 월드 에어포트 어워즈(2023 World Airport Awards)에서 무려 세 차례나 ‘세계 최고 공항’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23년 항공협회 선정 중동에서 항공 연결성이 두번째로 좋은 공항으로 꼽히기도 했다. 

▲ 하마드국제공항 라운지 [사진=카타르항공]

2014년 5월 문을 연 하마드국제공항은 2024년 5월까지 총 3억 2510만 명의 승객을 수용했다. 하마드국제공항에서 운항한 항공기는 총 210만 대로, 10년간 2,050만 톤의 화물과 2억 5800만 개의 수화물을 운송했다. 

 

카타르항공의 허브인 하마드국제공항은 현재 14개의 주력 항공사를 포함해 45개 이상의 항공사가 함께하고 있습니다. 2022년 1단계 확장 이후, 공항의 연간 수용 인원은 5800 만명으로 증가했으며, 여객, 화물, 전세기 서비스를 통해 200개 이상의 목적지로 승객들을 안전하게 수송하고 있다.


하마드국제공항은 맞춤형 공항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40여점이 넘는 국내외 아티스트들의 예술 작품을 상설 전시함으로써 공항을 방문한 승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 또는 하마드국제공항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유일무이한 리테일 샵 등 200개 이상의 소매품 및 식음료 매장이 위치해 있다. 

▲ 카타르항공 그룹 최고경영자 바드르 모하메드 알미르
2014년부터 하마드국제공항의 발전에 이바지해온 카타르항공 그룹 최고경영자 바드르 모하메드 알미르 (Engr. Badr Mohammed Al-Meer)는 “하마드국제공항의 성장과 글로벌 위상은 사람과 시설에 대한 투자, 혁신적인 솔루션 도입 그리고 산업 간 협력의 결과가 우수한 성과로 거듭나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라고 밝히며, “우리는 끊임없는 도전을 통해 업계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공항’이라는 명성을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10년, 그 이후에도 꾸준히 인력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며,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하마드국제공항은 10주년을 맞아 라이브 공연을 비롯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여 공항관계자들과 승객들이 함께 축하하고, 기념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현재 하마드국제공항에는 70여개국 출신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하마드국제공항의 핵심 가치인 ‘원팀(One Team)’에 따라 공항 운영 및 고객서비스를 더욱 개선하고, 긍정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혁신적인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도입하며 인력 관리에 큰 힘을 쏟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100만 인파 몰린 불꽃축제 '성료'…'대박' 터진 편의점·호텔
[메가경제=정호 기자]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되면서 편의점과 호텔이 높은 매출을 거뒀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날 불꽃축제에는 한강공원이 인접한 여의나루역을 무정차 통과할 정도로 인파가 몰렸다. GS25 편의점 10개 매장은 지난 20일 토요일 대비 하루 매출이 850% 급증했다. 특히 오후

2

한국화 거장 '소호' 김숙진 화백 5번째 개인전 '자연, 그곳에 머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거짓과 허구, 겉치레와 인공미가 판치는 세상에 실존적 사실과 진실은 분간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자연과 호흡하며 살던 순전하고 서정적인 인간 심상은 점차 옛얘기가 돼 가고 있다. ‘혼돈’이라 할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자연의 숨결과 동화적인 서정성을 일깨워주고 실존적 사실과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존재는 그만큼 소중할

3

[현장] 성균관대학교EMBA SM포럼 세미나, 강정수 대표 "AI 경제, 비즈니스 미래를 바꾼다"
[메가경제=정호 기자] "AI가 없으면 회사에 가라고 했는데 컴퓨터 안 주면서 일하라는 거랑 똑같다. 미디어 소비라든지 소통이 어려워지기 시작하고 커머스가 불편해지기 시작하는 등 업무가 어려워지는 사회가 온다. AI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강정수 블루닷 에이아이(AI) 연구센터장이 남긴 말이다. 강 센터장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