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3일 서울 도심 전국노동자대회 주도와 관련해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4일 경찰 소환조사에 응했다.
양 위원장은 "노동자대회 감염자가 없었던 것이 확인됐다"며 "정부가 방역실패 책임을 민주노총에게 돌리려는 시도는 실패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말 방역이 문제고 노동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며 "대통령에게 총리에게 노동부장관에게 만나자고 수차례 얘기했지만 아직도 답이 없다"고도 덧붙였다.
![]() |
▲4일 종로경찰서에 출석하고 있는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사진 = 연합뉴스 제공) |
서울경찰청 7.3 불법시위 수사본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신속·엄정히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찰은 7월 4일, 9일, 16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양 위원장의 출석을 요구한 바 있다. 마지막 출석 요구 최종시한인 23일까지 응하지 않자, 경찰은 양 위원장의 체포영장을 신청했으나 검찰은 반려했다.
서울경찰청은 수사부장이 본부장을 맡은 52명 규모의 특별수사본부를 편성해 수사에 착수한 뒤 현재까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감염병예방법 위반 등 혐의로 23명을 입건했다.
관려자 조사는 7월 20일 민주노총 부위원장 1명을 첫 소환한 데 이어, 3일까지 모두 1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양경수 위원장은 이날 출석에 앞서 기자들에게 "정부가 판단해야 한다. 노동자들과 마주 앉아 대화를 할 것인지, 노동자들을 거리로 내몰 것인지는 전적으로 정부의 판단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며 "민주노총은 대화할 준비도, 투쟁할 준비도 돼 있다는 걸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민주노총 노동자대회 이후 세 명의 집회 참가자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이들은 집회가 아니라 7월 7일 음식점에서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