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이 금리인상 멈출가?···삼성증권, 19일 언택트 컨퍼런스 개최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4-13 10:09:20
  • -
  • +
  • 인쇄
'글로벌 투자이슈와 해법'주제, 다양한 이슈 다뤄
사전 신청 및 설문조사 고객 경품 등 푸짐한 혜택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삼성증권이 연준의 금리인상 전망 등을 다룬 언택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사전 신청 및 설문조사 고객에게 경품 등 푸짐한 혜택도 제공한다


삼성증권(사장 장석훈)은 2023년 '글로벌 투자이슈와 해법' 등을 주제로 오는 19일 '언택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삼성증권은 2023년 '글로벌 투자이슈와 해법' 등을 주제로 오는 19일 '언택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미지=삼성증권 제공]


이번 언택트컨퍼런스는 4월 19일 수요일 오후 4시부터 5시 40분까지 삼성증권 유튜브(SamsungPOP)에서 실시간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삼성증권 언택트 컨퍼런스는 리서치센터 매크로팀 허진욱 수석연구위원, 테크(Tech)담당 이종욱 수석연구위원, 글로벌주식팀의 황선명, 김철민 수석연구위원, ETP전략팀 임은혜 수석연구위원이 강사로 참여한다. 세부 강연 주제는 △과연 연준은 금리인상을 멈출 것인가? △시진핑 피봇, 성장 패러다임의 교체 △위기의 Tech, 우리에게 기회인 이유 △무르익는 생성 AI, 이제는 수익화다 △챗GPT도 잘 모르는 자동화·AI ETF 총정리 등으로 최근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글로벌 시장의 흐름 전망하는 내용들로 구성됐다.

19일까지 삼성증권 언택트 컨퍼런스 사전 접수를 마친 고객 중, 삼성금융통합앱인 모니모에 신규 가입한 고객 선착순 30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을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증권 언택트 컨퍼런스 사전 접수는 19일 낮 12시까지 삼성증권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언택트 컨퍼런스를 사전 접수한 고객이 언택트 컨퍼런스 행사 중 진행되는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면, 추첨을 통해 20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을 제공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지난 11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동결에 이어, 미국발 금리 인상 종결론까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언택트 컨퍼런스가 투자의 방향성을 잡는데 도움이 되실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밝혔다.

언택트 컨퍼런스는 행사 후에도 삼성증권 유튜브 채널(SamsungPOP)에 업로드 되어 투자자들이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삼성증권은 국내·외 주식투자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삼성증권에서 해외주식 거래 경험이 없었던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100달러를 지원하는 이벤트를 4월 28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