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조사, 직장인 53.5% "작년 보다 송년회 줄었다"

장준형 / 기사승인 : 2023-12-22 10:31:18
  • -
  • +
  • 인쇄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잡코리아가 직장인 1097명을 대상으로 <올해 연말 송년회 트렌드>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먼저 '올해 연말 송년회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81.8%는 송년회 계획이 있거나 이미 했다고 응답했다.


직장인 10명 중 8명 정도가 올해 송년회 계획이 있다고 답했음에도 지난해에 비해 횟수는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송년회 계획이 있는 직장인 중 절반 이상인 53.5%가 '작년 보다 송년모임이 적다'고 응답했으며, 35.8%는 작년 수준, 10.7%는 '작년보다 송년모임이 더 많다'고 답했다. 

 

▲잡코리아 조사, 직장인 53.5%가 작년보다 송년회가 줄었다고 응답했다. [사진=잡코리아]

올해 연말 송년회를 갖는 직장인들은 평균 2.5회 정도 모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송년모임은 몇 회 정도 계획하는지 질문한 결과, 2회가 36.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회 32.4% 1회 17.4% 4회 7.8% 등 순이었다.


누구와의 송년회에 참여할 것인가 조사한 결과에서는(*복수응답) '절친들과의 송년회'를 꼽은 직장인이 응답률 68.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회사 동료들과 송년회(44.6%) 가족과의 송년회(42.4%)’를 꼽은 직장인이 많았다. 이 외에 학교 동창 및 동아리 송년회(29.8%) 취미. 친목 등 사회모임 송년회(21.4%) 종교모임 관련 송년회(4.8%)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이번 잡코리아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올해 회사 송년회를 진행한다고 응답한 직장인은 44.1%였다. 회사 송년회 유형으로는 '음주형 송년회'가 56.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런치타임형_점심식사로 간단하게(18.6%) 호텔뷔페형_고급 뷔페 식사로(10.5%) 문화공연형_직원들이 다 함께 문화공연 관람(5.2%) 세미나형_직원들이 다 함께 외부 강연 수강(3.1%) 워크샵형_1박2일 송년회(1.4%) 등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직장인들이 희망하는 회사 송년회는 현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회사 송년회 유형으로는 간단하게 점심식사로 진행되는 '런치타임형'이 29.5%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모임 없이 상품권 증정으로 대신하는 '상품권형'도 19.2%로 2위를 차지했다. 

 

선호 송년회는 연령대 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20대 직장인 중에서는 상품권형 송년회(24.6%)가 1위를 차지했으며, 30대는 런치타임형(33.8%)이 40대는 호텔뷔페형(27.9%)이 각각 선호하는 회사 송년회 1위에 꼽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준형
장준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넥써쓰, 크로쓰x 스테이블코인 테더-게임토큰 거래쌍 도입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30일 넥써쓰 관계자에 따르면 넥써쓰가 블록체인 통합 앱 크로쓰x(CROSSx)에 테더(USDT)와 게임토큰 거래쌍을 새롭게 도입한다. 기존의 크로쓰 토큰($CROSS)과 게임토큰 거래쌍 외에 테더를 활용해 직접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이번 거래쌍 도입은 이용자 편의성과 접근성 확대를 위한 조치다. 스테이블코인인 테더를 통해 별도의

2

KB금융,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 실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금융그룹은 지난 28일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과 체계적인 산업 재해 예방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캠페인은 언어·문화적 차이로 안전수칙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KB금융은 이번 부산 지역 안전교육을 시작으로 올

3

NH농협은행, 외국인 근로자 위한 'NH K-외국인신용대출'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NH K-외국인신용대출'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상품은 지난 25일 출시한 NH글로벌위드 패키지의 후속 상품으로 해외인력 유입 증가에 따른 금융 수요에 대응하고, 외국인 고객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대출대상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