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엔지니어링‧롯데케미칼‧포스코, 말레이 청정수소 사업 공동개발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1-26 10:46:35
  • -
  • +
  • 인쇄
그린수소 7000톤급 플랜트 건설 계획

삼성엔지니어링과 롯데케미칼, 포스코, 말레이시아 SEDC에너지는 지난 24일 '말레이시아 사라왁 H2biscus 청정 수소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비대면 화상회의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박천홍 삼성엔지니어링 솔루션사업본부장과 김연섭 롯데케미칼 ESG경영본부장, 조주익 포스코 수소사업실장, 압둘 아지즈 빈 후사인 SEDC 회장 등 각사 경영진이 참석했다.
 

▲ (왼쪽부터) 박천홍 삼성엔지니어링 솔루션사업본부장, 김연섭 롯데케미칼 ESG본부장, 조주익 포스코 수소사업실장, 압둘 아지즈 빈 후사인 SEDC 회장 [삼성엔지니어링 제공]

 

이번 MOU를 통해 삼성엔지니어링‧롯데케미칼‧포스코는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의 수소 부문을 관장하는 SEDC 에너지와 손잡고 청정수소 프로젝트 개발에 나서게 된다.

4사는 지난해 진행한 사전타당성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라왁 지역에 연산 그린암모니아 63만 톤, 블루암모니아 60만 톤, 그린메탄올 46만 톤, 그린수소 7000톤급 플랜트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달 기술‧법무‧재무‧세무‧시장분석 등 타당성 조사를 통해 이를 검증하고 본격 사업개발로 이어나갈 예정이다.

3사는 지난해 7월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암모니아 협의체’, 10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성과 보고대회’ 등에 함께 참여했다. 특히 10월에는 ‘수소사업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해외 수소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협력해 왔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될 제품 중 현지에서 사용될 청정수소 7000톤을 제외한 청정 암모니아와 청정 메탄올은 전량 한국으로 들여와 국내 기업들이 사용할 예정이다.

세 회사는 이외에도 해외 주요 발주처와의 협력을 통해 해외 청정수소 프로젝트 개발함으로써 국내 청정수소 도입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박천홍 삼성엔지니어링 솔루션사업본부장은 "해외 청정 수소 도입을 위한 협업의 첫 결실을 맺게 돼 기쁘다"라며 "현재 수행 중인 사라왁 메탄올 플랜트 프로젝트를 통해 구축한 탄탄한 현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을 견인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연섭 롯데케미칼 ESG경영본부장은 "롯데케미칼은 말레이시아 등 전 세계 22개국에서 쌓아온 글로벌사업 노하우와 26개 생산기지 운영을 통해 길러온 효율적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수소경제 활성화와 친환경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조주익 포스코 수소사업실장은 "사라왁 지역 역시 청정 수소 생산의 요충지로 기대되는 만큼 이번 협력도 성공적으로 수행해 국내 청정수소 도입과 수소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OL,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참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놀유니버스가 운영하는 NOL이 연말 여행 수요에 맞춰 국내여행 혜택을 강화해 지역 관광 회복에 나선다 NOL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겨울편에 참여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 연중 진행된 민관협력 캠페인으로 올해 마지막 시즌을 맞이했다. NOL은

2

신세계백화점, CJ ENM 협업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백화점이 연말을 맞아 CJ ENM과 팝업을 선보인다. 오는 16일까지 신세계 강남점 오픈스테이지에서는 신세계 자체 캐릭터 푸빌라와 함께 뮤지컬 물랑루즈!의 ‘사틴’, 킹키부츠의 ‘롤라’, 비틀쥬스의 ‘비틀쥬스’가 산타가 되어 특별한 선물을 소개하는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스토어가 펼쳐진다. 이번 팝업에서는

3

한촌설렁탕,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 열어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촌설렁탕이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에 첫 참여해 11월 11일(화)까지 국탕류 시그니처 간편식 라인업을 최대 6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고물가 추세가 지속되면서 '한 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가격 부담은 줄이되, 맛과 영양, 품질을 모두 챙기는 '합리적 프리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