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산업 현장 방문 김종호 기보 이사장, "우수 콘텐츠 지원 확대"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4-29 10:48:31
  • -
  • +
  • 인쇄
부산 남구 소재 뮤지컬 전문기업 드림씨어터 방문
문화콘텐츠산업 애로사항 청취

부산 문화콘텐츠산업 현장을 방문한 김종호 기술보증기금(기보) 이사장이 지역 문화콘텐츠산업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우수 콘텐츠 지원 확대의사를 밝혔다.

기술보증기금은 김종호 이사장이 부산광역시 남구 소재 뮤지컬 전문기업인 드림씨어터㈜(대표이사 설도권)를 방문하여 지역 문화콘텐츠업계의 애로사항을 듣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29일 밝혔다.

 

▲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고 있는 기보 김종호 이사장(오른쪽)과 드림씨어터(주) 설도권 대표이사 [사진=기술보증기금 제공]


드림씨어터는 2019년 4월 부산국제금융센터 내에 설립된 1700석 규모 국내 최대 뮤지컬 전용극장으로 초대형 공연콘텐츠를 상영할 수 있는 최신 무대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라이온킹·오페라의유령·위키드·캣츠 등 유명 뮤지컬과 윤종신·이문세·히사이시조 영화음악 등의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기획·공연하여 부산지역 문화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드림씨어터 설도권 대표는 “최근 코로나19 팬데믹과 초기 제작단계에서의 유동성확보 등으로 어려움이 있었으나, 기보의 문화산업완성보증제도를 적기에 이용하여 공연을 성공리에 마무리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뮤지컬을 비롯한 문화콘텐츠산업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설도권 대표와 함께 뮤지컬 공연장과 무대시스템 등 현장을 살펴보고, “코로나19 장기화로 뮤지컬을 비롯한 공연업계가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면서,“기보는 특화된 보증상품을 바탕으로 우수 문화콘텐츠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성공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보는 뮤지컬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문화콘텐츠 제작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하여 2009년 국내 최초로 문화산업완성보증제도를 도입, 전국 4개의 문화콘텐츠 전담 센터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2009년 상품도입 이후 2021년까지 1713개의 콘텐츠에 8947억원의 문화산업완성보증을 지원했으며, 2022년에는 신규공급을 1400억원으로 확대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콘텐츠업계의 자금난 해소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종호 이사장은 전년도 12월 탄소중립기업을 시작으로 소셜벤처기업, 재기지원기업, 의료기기산업, 문화콘텐츠기업 등 현장 행보를 이어가고 있으며, 향후에도 현장 방문을 통해 기업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예정이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