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은행 대출 연체율 0.47%...전월비 0.05%p 상승

노규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0 13:37:46
  • -
  • +
  • 인쇄
금감원, 7월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 발표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6월 소폭 하락했던 은행 대출 연체율이 7월 다시 상승 전환했다. 가계·기업대출 연체율 모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금융감독원]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47%로 전월(0.42%)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국내은행 연체율은 지난 6월 석 달 만에 하락했다가 이번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7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전월(2조3000억원) 대비 4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5000억으로 전월(4조4000억원) 대비 절반이 넘는 2조9000억원 감소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53%로 전월(0.46%)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대기업 연체율은 0.05%로 0.01%포인트 올랐고,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67%로 0.09%포인트 상승했다. 중소법인대출 연체율은 0.71%로 전월 대비 0.13%포인트, 개인사업자대출은 0.61%로 0.04%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연체율은 은행이 분기말에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함에 따라 분기 중 올랐다가 분기 말에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2분기 말이었던 6월에 비해 3분기 초인 7월에 기저효과가 작용했다고 풀이된다.

 

금감원은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코로나 이전 장기평균에 비해 여전히 낮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 이후 신규연체율이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대손충당금을 적립하고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를 통해 자산건전성을 관리하도록 하는 한편 취약차주에 대한 자체 채무조정 활성화 등으로 차주의 채무부담 완화를 지원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노규호 기자
노규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