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6만가구 사전청약 발표…전월세난 심화되나

임준혁 / 기사승인 : 2020-09-09 14:41:29
  • -
  • +
  • 인쇄
하남·남양주·고양·인천 등서 전셋값 매달 상승
MB정부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제... 서울·경기 전셋값 폭등

[메가경제= 임준혁 기자] 정부가 지난 8일 서울과 수도권의 공공택지 6만가구에 대한 사전청약 방안을 발표하면서 전월세난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전 청약을 기다리는 수요가 임대차 시장에 장기간 눌러앉으면 전·월세 가격이 계속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경기도 하남시 학암동 ‘위례롯데캐슬’ 전용 84㎡는 지난 7월만 해도 전세보증금이 5∼6억원대였다가 지난달 7억원에 계약서를 썼다.

 

▲ 경기도 하남시 교산지구 일대 모습 [사진= 연합뉴스]


같은 기간 월세는 보증금 5천만원 월세 155만원 수준에서 보증금 1억원 160만원으로 가격이 뛰었다.

이 단지 근처에서 영업하는 공인중개사 A씨는 “아직 실거래가 등록되지 않았지만, 이달 들어 전세는 7억8천만원, 월세는 보증금 1억원에 220만원까지 계약이 체결됐다”며 “전세는 말할 것도 없고 월세도 품귀”라고 전했다.

하남은 3기 신도시(남양주 왕숙·하남 교산·인천 계양·부천 대장·고양 창릉) 중에서도 청약 인기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

경기도는 대규모 택지개발지구(66만㎡ 이상)를 공급할 때 해당 시·군 1년(투기과열지구는 2년) 이상 거주자에게 30%를 우선 배분한다.

하남 교산은 2021년 11∼12월 중 1100가구, 2022년 2500가구 등 3600가구가 사전 청약 방식으로 공급된다.

업계에서는 청약 당첨을 위한 이주 수요가 대부분 반영됐지만, 사전청약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고 2년을 거주하려는 ‘막차 수요’가 여전히 움직일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내년, 후년까지 사전청약 일정이 잡혀 있는 남양주 왕숙, 고양 창릉, 인천 계양 등의 인근 지역 아파트 전셋값도 계속 오르고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다산 e편한세상 자이’ 전용 84㎡는 지난달 전셋값이 처음으로 5억원대에 진입했다.

월세는 전용 74㎡가 지난 6월 보증금 5천만원에 임대료 110만원 선이었다가 이달 들어 보증금 4천만원에 임대료 160만원에 계약이 이뤄졌다. 전용 84㎡는 월세 물건이 아예 없는 상황이다.

 

▲ 남양주 왕숙 3기신도시 부지 [사진= 연합뉴스]

창릉지구가 들어설 고양시 덕양구와 인천 계양지구 인근 일대도 전셋값 오름세가 뚜렷하다.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삼성래미안’ 전용 59㎡는 지난 1일 3억9천만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지난 5월 3억원대에 처음으로 진입한 뒤 이제는 4억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인정프린스’ 전용 84㎡는 지난 4일 2억4천만원에 전세 거래를 마쳤다. 같은 면적이 지난 7월 30일 2억2천만원에 거래된 것보다 2천만원 상승한 역대 최고가다.

이는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한 새 임대차법이 시행되면서 전·월세 물건이 귀해지고 가격이 치솟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여기에 사전청약 수요까지 더해지면 임대료가 더 오르고 전월세난이 가중될 수 있다. 실제 이명박 정부가 사전예약제를 통해 수도권에 보금자리주택을 공급한 2009년부터 서울·경기의 전셋값은 3년간 폭등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2008년 -1.8%를 기록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2009년 8.1%, 2010년 7.4%, 2011년 13.4% 올랐다. 경기 아파트 전셋값은 2008년 -0.5%에서 2009년 4.5%, 2010년 7.1%, 2011년 16.5% 상승했다.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제는 2011년 결국 폐지됐다.

사전청약 물량이 실제 입주로 이어지려면 최소 4∼5년이 남은 점을 고려하면 부동산 시장 안정을 예단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바로 여기서 나온다.

직방 함영진 빅데이터랩장은 “새 임대차법으로 전·월세 물량이 부족한데 사전청약제로 인한 수요 증가가 맞물리면 청약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임대료는 꾸준히 오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준혁
임준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병도 의원, ‘약자와의 동행’없는 서울시 미래교통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서울시가 ‘약자와의 동행’을 기치로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교통약자는 탑승조차 어려운 구조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서울시가 운행 중인 자율주행차 17대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은 6대(35.3

2

현대로템, 美 쉴드AI와 기술개발 업무협약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현대로템이 방산 부문의 인공지능(AI) 기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미국의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Shield)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3

현대해상, ‘아이마음 놀이터’ 건립·운영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현대해상화재보험은 영등포구청, 사회적기업 코끼리공장, 사단법인 루트임팩트와 ‘어울숲 문화쉼터×아이마음 놀이터’ 건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이마음 놀이터’는 현대해상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새롭게 추진하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지자체와 협력해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열린 커뮤니티 공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