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경제적 어려움=공유 주거 증가’ 등식 가속화?”

임준혁 / 기사승인 : 2020-09-01 15:09:43
  • -
  • +
  • 인쇄
디앤디프라퍼티매니지먼트 ‘2020 트렌드 리포트’ 발간
새로운 ‘경험’ 원하는 2535세대, 멀어도 공유주거 찾아
증가하는 1인가구·언택트, 공유와 교류의 니즈 늘어나

[메가경제= 임준혁 기자] 온라인 소통이 강화된 밀레니얼의 외로움과 경제적 어려움에 코리빙, 쉐어하우스 등 ‘공유 주거’가 새로운 주거의 대안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가속화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SK디앤디(SK D&D)의 부동산 매니지먼트 솔루션 기업 디앤디프라퍼티매니지먼트(D&D Property Management Inc., 이하 DDP)가 1일 ‘공유주거 2020 트렌드 리포트’란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리포트는 주거 시장 전반의 흐름과 소비자의 변화 등을 분석한 보고서로, 주거 트렌드 뿐만 아니라 주거와 관련된 뉴테크, 솔루션 및 컨텐츠까지 다양한 영역을 탐색해 공유하고자 기획됐다.

 

▲ 공유주거 2020 트렌드 리포트 표지 [사진= SK 디앤디]


리포트에 따르면 공유 주거를 택하는 핵심 소비자층은 2535세대다. 특히 주거를 단순히 공유하는 형태인 쉐어하우스의 경우 경제적 목적이 강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연령대인 2030세대가 72%를 이루며, 커뮤니티 및 공유 공간을 갖추면서 사적인 공간 또한 확보할 수 있는 코리빙(Co-living) 컴플렉스의 경우에도 2535세대가 6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35세대는 최근 가치 소비, 가심비(가격대비 심리적 만족도를 중요시하는 태도) 등의 트렌드를 이끈 세대로,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서도 유사한 특성이 나타났다. 공유 주거 거주자의 약 35%는 기존에 거주하던 곳보다 직장, 학교 등 생활근거지와의 거리가 멀어짐에도 불구하고 공유 주거를 택했다. 응답자의 74%가 그 이유를 ‘새로운 주거 환경 및 라이프스타일을 경험하고자 하는 니즈(Needs)’로 답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밀레니얼에 해당하는 20~30대의 약 65%가 항상 또는 자주 외로움을 느낀다고 대답했으며, 이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수치다. 올해 4월 미국에서 진행한 한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 발생 이후 ‘외롭다고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 세대에 걸쳐 더욱 증가했다.

이같은 ‘외로움, 불안감’이 2030 밀레니얼 세대뿐만 아니라 증가하는 1인 가구들의 공통적인 이슈이며, 이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외출, 대면 접촉이 감소하면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해당 소비자들이 공유 주거를 대안으로 선택한다고 분석하며, 공유 주거 업체들은 커뮤니티 내 온·오프라인 활동을 진행하고,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위생과 비상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대안이 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주거기능 ‘휴식과 안전’→‘성장 위한 플랫폼’ 진화
또한, 공용 주거는 한정된 예산에 넓은 거주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2535세대의 니즈 또한 충족한다. 기존에 개인 공간에 두는 세탁, 수납, 키친 등을 공유 공간으로 사용하고, 라운지, 피트니스, 루프탑 등 여가를 보낼 수 있는 공간까지 확보하면서, 공유 주거 형태에서는 1인당 사용 면적이 최대 25%가량 증가한다. 동일한 예산 대비 경제성이 제고되는 효과다.

 

▲ SK디앤디 주거 브랜드 에피소드 전경 [사진= SK디앤디]

리포트는 코로나 이후 시대의 공유주거 개념은 지역 공동체와의 ‘공존’과 교류를 통한 ‘성장’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즉, 집과 주거 기능에 대한 개념이 기존에는 기본적 생존 욕구 충족을 위해 ‘휴식과 안전’을 제공하는 휴식처였다면, 경제적, 사회적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공간으로, 나아가 시간, 공간, 사람의 연결을 기반으로 ‘성장’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진화해 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SK디앤디 RESI솔루션개발운용본부 김도현 본부장은 “SK디앤디의 주거 브랜드 ‘에피소드’ 또한 공간을 넘어선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밀레니얼들의 입맛을 저격하고 있다. ‘에피소드 성수 101’은 전 세대가 입주했으며, 7월 초 오픈한 ‘에피소드 성수 121’의 경우도 빠른 속도로 입주가 진행되고 있다”며 “1인 가구·언택트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하고 싶은 니즈 또한 늘어나는 만큼, 다양한 형태의 공유 주거는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SK디앤디를 비롯해 다양한 기업들이 공유 주거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2020년 2만1371개 가구가 공급되고 있는 데 비해 2024년에는 3배 이상 증가한 6만7891개 가구가 공급될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준혁
임준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레드페이스, 가을 트레킹 맞춤형 기능성 워킹화 2종 공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본격적인 트레킹 계절인 가을이 오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정통 아웃도어 브랜드 레드페이스가 발 편한 기능성으로 나들이부터 트레킹까지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워킹화 2종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레드페이스가 출시한 콘트라 벤트 노바 워킹화와 콘트라 셀 코어 워킹화는 모두 갑피에 콘트라텍스 엑스투오 프로를 적용했다. 이는 브랜드가 자체

2

아이파크, K-브랜드지수 아파트 브랜드 부문 1위...힐스테이트·푸르지오 뒤이어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아파트 브랜드 부문 1위에 아이파크가 선정됐다고 11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3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 "삼성 OLED, 미래 모빌리티 핵심 플랫폼"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삼성 OLED는 자율 주행하는 미래 모빌리티와 사람을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은 10일(독일 현지시간) 'IAA 모빌리티 2025(이하 IAA 2025)'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참가해 이같이 강조했다. 지난 9일~14일(현지시간)까지 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