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제재 예상보다 강해"...증권가 목표가 줄하향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7-07 16:48:47
  • -
  • +
  • 인쇄
정부, 계약 해지 시 위약금 면제 요구
비용·과징금 등 불확실성도 남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정부가 SK텔레콤의 유심(USIM) 해킹 사고와 관련해 이용자 위약금 면제를 요구하자 증권가는 실적 악화를 우려하며 일제히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이번 조치가 예상보다 강경해, 연내 실적 부진이 불가피하다는 평가다. 일각에선 배당 여력 축소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앞서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은 SK텔레콤이 2021년부터 해킹 공격을 받았으며, 2022년 자체 조사에서 침해 사실을 인지하고도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보안 관리의 중대한 과실을 지적하며, 의무 사용기간이 남은 가입자의 계약 해지 시 위약금 면제를 요구했다.

 

▲지난 4일 열린 고객 보상안 발표 현장에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사과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증권가도 즉각 반응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정부 조치가 예상보다 강경하다”며 올해와 내년 SK텔레콤의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각각 35%, 12%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도 ‘매수’에서 ‘시장수익률’로 낮췄다.

 

조사 결과 발표 직후인 4일, SK텔레콤 주가는 5.56% 급락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무선 가입자뿐 아니라 유무선 결합상품 가입자 이탈도 발생하고 있어 가입자 순감과 매출 축소가 불가피하다”며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감소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하반기에도 위약금 면제, 고객 유지를 위한 비용, 과징금 부과 등 대규모 불확실성이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이찬영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입장이 예상보다 강경해 과징금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다”며 “전년 수준의 배당 유지 가능성도 불확실해졌다”고 우려했다.

 

다만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고객 감사 패키지, 위약금 면제, 정보보호 혁신안 등은 사실상 가능한 최대한의 보상책”이라며 “일회성 비용에 그칠 가능성이 높고, 2026년부터는 손익이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날 증권사들은 SK텔레콤의 목표주가를 줄줄이 낮췄다. 유진투자증권은 5만6000원에서 5만2000원, 대신증권은 6만7000원에서 5만6000원, 현대차증권은 7만원에서 6만3000원, NH투자증권은 6만5000원에서 6만3000원, IBK투자증권은 7만원에서 6만6000원으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빙그레, 23년 만에 회사채 발행 추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빙그레가 23년 만에 공모 회사채 발행을 검토한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이달 수요예측을 거쳐 오는 26일 500억원 규모의 3년 만기 회사채 발행을 계획 중이다. 최대 1000억원까지 추가 발행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빙그레는 지난달 20일 충남 천안시 동남구 동면 송연리에 위치한 빙

2

강원랜드, 2025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 참여기업 공모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대표이사 직무대행 최철규)는 청년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폐광지역 이전과 기업성장을 지원하는 ‘2025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 선발 공모가 8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다고 밝혔다.‘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는 폐광지역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강원랜드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광해광업공단, 지방시대위원회

3

KT알파 쇼핑,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 개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알파 쇼핑이 8일부터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KT알파 쇼핑은 9월 30일까지 10% 할인쿠폰 매일 증정, 골드코인 경품 추첨 등을 실시한다.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을 통해 추석 대상상품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는 10% 할인쿠폰을 지급한다. 프로모션 기간 내 매일 쿠폰이 발행돼 1일 1회 사용 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