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진·황세희의 ‘듀오 피다’ 7월28일 아티스트 라운지에 피다

민병무 / 기사승인 : 2021-07-22 18:10:37
  • -
  • +
  • 인쇄
플루트·하프의 신비로운 소리 선사
무더운 여름 최고의 음악 피서 선물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천상의 소리 플루트와 하프가 만난다.

플루티스트 한여진과 하피스트 황세희로 구성된 특별한 앙상블 ‘듀오 피다(DUO PIDA)’가 올해 여섯 번째 열리는 예술의전당 ‘아티스트 라운지’ 무대에 선다.

 

▲ 플루티스트 한여진(오른쪽)과 하피스트 황세희로 구성된 앙상블 ‘듀오 피다(DUO PIDA)’가 오는 7월 28일 예술의전당 ‘아티스트 라운지’ 무대에 선다. [사진=예술의전당 제공]

예술의전당은 오는 7월 28일(수) 오후 7시 30분 IBK챔버홀에서 ‘아티스트 라운지’를 개최한다. 이번 공연의 주인공은 플루티스트 한여진과 하피스트 황세희로 구성된 앙상블 ‘듀오 피다(DUO PIDA)’다.

플루티스트 한여진은 만 11세의 어린 나이로 칼 닐센 최연소 특별상, 베를린 국제콩쿠르 1위 등 국제콩쿠르 무대에 진출한 재원이다. 하피스트 황세희는 프랑스 국제콩쿠르 1위 등 세계적인 콩쿠르를 휩쓸며 우리 음악계를 책임질 촉망받는 유망 솔리스트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플루트나 하프가` 많이 연주되기는 하지만, 두 악기의 듀오 연주를 공연장에서 만나기는 쉽지 않다. 이번 음악회는 우아하다고만 생각하는 플루트와 하프라는 악기로 다채로운 음색에 매료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니노 로타의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소나타’, 알폰스 하셀만의 ‘샘’, 필립 휴렐의 ‘플루트 솔로를 위한 에올리아’, 에이미 비치의 ‘로망스’, 앙리에트 르니에의 ‘하프를 위한 세 개의 에피소드를 가진 교향적 작품’, 장-미쉘 다마즈의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소나타’, 그리고 올해로 탄생 100주년을 맞이한 피아졸라의 ‘탱고의 역사’ 등이 연주된다.

이번 프로그램은 각자의 악기의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솔로 또는 듀오 무대로 구성해 하모니를 이끌어내며, 두 악기가 지닌 매력을 전달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유인택 예술의전당 사장은 “객석과 무대의 간격이 보다 가까운 챔버홀에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하프와 플루트라는 악기의 매력에 푹 빠지는 시간이 될 것이다”라며 “청정 공조 시스템으로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하고 쾌적한 관람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공연장이야말로 무더운 날씨에 음악회 관람이 최고의 피서법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입장권은 1만~2만 원이며 예술의전당 홈페이지와 콜센터, 인터파크에서 예매 가능하다.

[메가경제=민병무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민병무
민병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상아제약, 2025 대한민국 소비자만족지수 1위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상아제약은 지난 1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소비자만족지수 1위' 시상식에서 건강기능식품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상아제약은 오랜 제약 노하우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연이어 선보이며 업계를 선도해 왔다. 세계 최초 리포좀 공법을 적용한 '프리

2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 어린이 가족공연 '조금은 특별한 피노키오' 성료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이사장 최철규, 이하 재단)은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영월문화예술회관과 정선아리랑센터에서 어린이 가족공연 <조금은 특별한 피노키오>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공연은 폐광지역 아동·가족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장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3

SK증권 "롯데관광개발, 저평가 여전…목표가 25,000원 상향"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증권가가 롯데관광개발에 대해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다며 투자 매력을 강조하고 나섰다. 제주드림타워 카지노 실적 호조와 외국인 관광객 증가 추세를 근거로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11일 SK증권은 롯데관광개발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1,000원에서 25,000원으로 19% 상향 조정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