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 10곳, 6783가구 청약

임준혁 / 기사승인 : 2020-09-11 17:11:09
  • -
  • +
  • 인쇄
부동산 리서치회사 닥터아파트 주간 분양동향 발표
견본주택 8곳 개관, 당첨자 발표 10곳·계약 10곳

[메가경제= 임준혁 기자] 9월 셋째 주(9월 14~20일) 전국 아파트의 청약물량은 10곳, 6783가구다.

모델하우스는 8곳에서 오픈할 예정이며 당첨자 발표는 10곳, 계약은 10곳에서 이뤄진다.

11일 부동산 리서치회사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14일 ▲장안에스아이팰리스 ▲충주 힐스테이트 호암(공공분양) 등 2곳에서 청약접수를 시작한다.

15일에는 ▲수원 영흥공원 푸르지오 파크비엔 ▲평택 고덕신도시 제일풍경채3차 센텀 ▲광주 금남로 중흥S-클래스&두산위브더제니스 등 3곳에서 청약접수를 시작한다.

 

▲ [표= 닥터아파트]

16일에는 ▲힐스테이트 삼동역 ▲대구 수성 푸르지오 리버센트 등 2곳에서 청약접수를 시작한다.

금요일인 18일에는 ▲화성봉담2 A2블록 신혼희망타운(공공분양) ▲청라 푸르지오 라피아노 1·2단지(도시형생활주택) 등 3곳에서 청약접수를 시작한다.

9월 셋째 주 오픈 예정인 모델하우스는 8곳이다.

14일에 천안 신방 삼부르네상스 1곳이 오픈할 예정이다. 천안 신방 삼부르네상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직접 관람을 제한하고 사이버 모델하우스로 대체해 운영한다.

18일에는 ▲남양주 힐스테이트 지금 디포레(오피스텔) ▲여주역 우남퍼스트빌 ▲내포신도시1차 대방 엘리움 더퍼스트지 ▲청주 오송역 파라곤 센트럴시티 ▲울산 문수로대공원 에일린의 뜰 ▲울산 번영로 센트리지 ▲완주 푸르지오 더퍼스트 등 7곳이 개관할 예정이다.

9월 셋째 주 당첨자를 발표하는 단지는 10곳이다.

15일에 ▲e편한세상 시티 광교(오피스텔) ▲경산하양 금호어울림(공공분양) ▲서대구센트럴자이 ▲울산 문수로 드림파크 ▲남해 스타펠레스 등 5곳에서 당첨자를 발표한다.

16일에는 평택 힐스테이트 고덕 스카이시티(주상복합) 1곳에서 당첨자를 발표한다.

18일에는 ▲가평 센트럴파크 더스카이 ▲부산 괴정신동아파밀리에 등 2곳에서 당첨자를 발표한다.

20일에는 청라 푸르지오 라피아노 1·2단지(도시형생활주택) 1곳에서 당첨자를 발표한다.

9월 셋째 주 당첨자 계약 단지는 10곳이다.

월요일인 14일 ▲고덕강일지구 8단지(공공분양) ▲강동리엔파크 14단지(공공분양) ▲김포한강신도시 범양레우스 라세느(도시형생활주택) ▲화성 봉담2지구 중흥S-클래스 2차(B1·B4블록) ▲대구 화원 신일해피트리 꿈의 숲 등 6곳에서 당첨자 계약을 실시한다.

15일에는 시흥 호반써밋 더 프라임 1곳에서 당첨자 계약을 실시한다.

16일에는 e편한세상 시티 광교(오피스텔)에서 18일에는 ▲성남 산성역 자이푸르지오(공공분양) ▲평택고덕지구 A39블록(공공분양) 등 2곳에서 당첨자 계약이 진행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준혁
임준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2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3

하나금융그룹,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하나금융그룹은 금융권 최초로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를 신설하고, 그룹 전사적 차원의 금융소비자보호 정책 추진을 위한 ‘그룹 소비자보호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한다고 26일 밝혔다. 하나금융그룹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구조적 저성장 위기 극복 및 국가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전(全) 관계사가 참여하는 ‘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