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이랜드리테일의 이랜드월드 부당 지원에 과징금 40억 부과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4-10 17:42:50
  • -
  • +
  • 인쇄
사실상 지주사에 1071억 원 규모의 계열사 자금·인력 제공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랜드그룹의 계열사 이랜드리테일이 이랜드월드에 자금과 인력을 지원한 사실을 적발하고 시정명령과 과징금 부과를 결정했다.

이랜드월드는 총수(동일인)인 박성수 회장과 특수관계인 등이 99.72%의 지분을 보유한 회사로 이랜드그룹 소유·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다.
 

▲ 공정거래위원회 [사진=연합뉴스]


공정위는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이랜드리테일과 이랜드월드에 시정명령과 함께 각각 20억 6000만 원, 20억 1900만 원씩 총 40억 79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다고 10일 밝혔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이랜드월드는 2010년 이후 진행된 차입금 중심의 무리한 인수합병으로 유동성 문제가 나타났고, 특히 2014∼2017년에는 자금 사정이 더욱 나빠진 상황이었다.

공정위는 이랜드그룹이 이랜드리테일을 통해 자금난에 빠진 이랜드월드를 부당하게 지원했다고 봤다.

이랜드리테일은 2016년 12월 31일 이랜드월드 소유 부동산 2곳을 총 670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계약금으로 560억 원을 지급했다.

이후 181일이 지난 2017년 6월 30일 계약을 해지하고 계약금을 돌려받는 방식으로 6개월간 자금을 무상 대여했다고 공정위는 판단했다.

이 기간에 이랜드월드가 받은 경제적 이득은 이자 비용에 해당하는 13억 7000만 원이다.

또 이랜드리테일은 지난 2014년 5월 이랜드월드와 의류 브랜드 ‘SPAO’의 자산 양수도계약을 체결한 뒤 그해 7월 자산을 넘겼으나 양도대금 511억 원을 2017년 6월까지 분할 상환하도록 유예해주면서 지연이자를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정위는 이랜드리테일이 미래 수익 창출 능력이 있는 SPAO를 양도대금을 당초 지급할 자금이 없는 이랜드월드에 넘긴 것으로 파악했다.

이로써 이랜드월드는 지연이자에 해당하는 최소 35억 원의 이익 등을 취했다고 봤다.

이외에도 이랜드리테일은 2013년 1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이랜드월드 대표의 인건비 1억 8500만 원을 대신 지급해 부당 지원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무리한 사업 확장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계열회사 간 변칙적인 자금지원 등 불공정한 경쟁수단을 활용해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시장의 공정한 거래질서를 저해하는 위법행위를 제재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룹의 소유·지배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계열사의 지원을 동원한 행위를 바로잡은 점에도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