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개발원에 2주간 격리 해제 후 6주간 더 머물러...정착 교육 지원
전날 377명에 이어 27일 추가로 13명이 추가로 입국하면서 정부가 계획한 390명 전원이 무사히 입국하면서 ‘미라클’로 명명됐던 이송 작전이 모두 완료됐다.
전날 공중급유수송기(KC-330)를 타고 도착한 377명은 인천공항 도착 즉시 받은 코로나19 PCR(유전자 증폭) 검사 결과가 나옴에 따라 27일 낮 충북 진천의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 입소했다.
전날 도착한 아프간인들은 PCR검사 결과 360명이 음성, 17명은 판정값이 경계선상에 있어 미결정으로 확인됐다. 미결정자를 포함한 377명 전원이 진천에 입소했다. 다만 미결정자에 대해서는 24시간 경과 후 재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 |
▲ 아프가니스탄에서 한국 정부 활동을 도왔던 현지인 직원 및 가족 중 파키스탄에 남아 있던 나머지 인원들이 27일 오후 우리군 수송기로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입국장을 나서고 있다. [영종도=연합뉴스] |
또한, KC-330에 탑승 공간이 부족해 파키스탄 현지에 남았던 나머지 아프간인 13명도 군 수송기(C-130J)를 타고 이날 오후 1시 7분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이들 13명도 공항에서 코로나19 PCR 진단검사를 받고 음성이 확인되면 이날 먼저 입소한 377명과 마찬가지로 진천의 인재개발원으로 이동해 2주간의 방역 격리생활을 한 후 6주간의 정착 교육 등을 받을 예정이다.
당초 정부는 총 391명의 아프간인을 이송한다고 발표했지만 파키스탄 공항에서 신원 확인 결과 이송 대상 명단에 없는 1명을 발견해 다시 카불공항으로 데려가 미군에 인계했다고 밝혔다.
강성국 법무부 차관은 이날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가진 브리핑에 따르면, 아프간인들의 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했다.
이날 먼저 입소한 36가구 377명의 아프간인들은 남성 194명(51%), 여성 183명(49%)이고, 미성년자는 231명으로 전체의 61%를 차지한다. 만 6세 이하도 110명으로 전체의 29%이며, 60세 이상인 입국자도 1명(남성·68세) 있다.
총 76가구 중 6인 가구는 24세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8인 가구도 6세대가 입국했다.
이에 정부는 1인~8인 가족들 중 반드시 보호자가 필요한 12세 이하의 아동이나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가족들과 함께 입실할 수 있도록 3인 또는 4인실을 적절히 안배하여 배정했다. 임시생활시설에서 생활하는 동안에는 입소자들의 종교를 고려해 식단도 마련한다.
![]() |
▲ 강성국 법무부 차관이 27일 오후 충북 진천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정문 앞에서 아프간 특별입국자들에게 손 인사를 하고 있다. [진천=연합뉴스] |
이들이 인재개발원에서 생활하는 동안 법무부 등 직원(40명)과 민간전문 방역인력(12명) 등 총 59명으로 구성된 ‘생활시설운영팀’이 상주하며 보살핀다.
입소자들에 대해서는 체온검사(1일 3회)를 실시, 코로나19 증상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이동을 제한하게 되며 입소 후 7일차에 2차 PCR검사를 실시해 잠복기 및 무증상 확진자 등을 선별하며, 격리종료 직전에 3차 PCR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법무부 교정본부 소속 의사 2명, 간호사 3명, 국방부의 군의관과 간호장교 등 총 10명이 24시간 시설에 상주하며 입소자들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총 2차례의 PCR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시설에는 통역인 1명이 상주하고 있으며, 전화통역이 가능한 통역인 풀(Pool)도 9명을 갖췄다. 시설 내 보육시설은 갖추고 있지 않으나, 영유아가 많은 점을 고려해 격리가 종료된 후에는 기숙사 내 임시 보육시설을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는 경찰 1개 기동대와 법무부 직원 14명으로 구성된 안전요원들이 24시간 인재개발원에서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한다. 인재개발원 외곽은 경찰이, 입소자 숙소는 법무부 직원으로 역할을 나눠 안전에 만전을 기한다.
이들은 현재 심리안정이 가장 필요한 상황으로, 격리 해제 후에는 인재개발원에서 약 6주 간 더 머물 예정입니다.
이들에 대해서는 향후 법무부 주관으로 우리사회 정착에 필요한 한국어·문화·법질서 등 사회적응 교육을 실시해 이들이 자립해서 스스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강 차관은 “생계비, 의료비, 주거지원비 등 초기 정착에 필요한 지원은 관계부처와 협의해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이분들이 우리나라에 잘 적응해 생활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계획도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국민 여러분들의 깊은 이해와 지원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