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해상-SK C&C, 디지털 기반 신규 비즈니스 모색 위한 MOU 체결

정창규 / 기사승인 : 2020-04-23 17:38:57
  • -
  • +
  • 인쇄
보험과 ICT 신기술 융합 통한 신사업 발굴 추진
글로벌 트렌드 공유하기 위한 정기 협의체도 운영
사진 왼쪽부터 SK㈜C&C 최혜원 팀장, SK㈜C&C 박일두 팀장, SK㈜C&C 김화중 그룹장, SK㈜C&C 이석진 그룹장, 현대해상 정규완 디지털전략본부장, 현대해상 조영택 디지털기획파트장, 현대해상 한택룡 디지털혁신파트장, 현대해상 권오형 과장.(사진=현대해상)
사진 왼쪽부터 SK㈜C&C 최혜원 팀장, SK㈜C&C 박일두 팀장, SK㈜C&C 김화중 그룹장, SK㈜C&C 이석진 그룹장, 현대해상 정규완 디지털전략본부장, 현대해상 조영택 디지털기획파트장, 현대해상 한택룡 디지털혁신파트장, 현대해상 권오형 과장.(사진=현대해상)

[메가경제= 정창규 기자] 현대해상(대표이사 조용일?이성재)은 SK C&C(대표이사 박성하)와 ‘디지털 기반 신규 비즈니스 모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22일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현대해상 본사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현대해상 정규완 디지털전략본부장과 SK㈜ C&C 이석진 Channel & Marketing 그룹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현대해상은 보험과 ICT 신기술 융합을 통한 신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글로벌 트렌드를 공유하기 위한 정기 협의체도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양사가 협업 중인 스타트업에 금융 및 ICT 기술과 관련한 컨설팅을 제공하기로 했다.


SK C&C 이석진 Channel & Marketing 그룹장은 “SK㈜ C&C는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의 사업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현대해상과 스타트업 발굴·육성을 통해 디지털 에코(Digital Eco)를 확대, 새로운 협력 사업들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현대해상 정규완 디지털전략본부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니즈와 금융시장에 디지털은 필수 요소가 되었다”며 “관련분야에 다양한 경험과 깊은 인사이트를 보유한 SK㈜ C&C와 협업을 통해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해상은 디지털 생태계 내 스타트업 등 다양한 플레이어들과의 협업을 위한 온라인 채널인 ‘디지털파트너센터’를 최근 오픈했다. 디지털파트너센터를 통해 제휴, 신기술적용, 투자유치 등 다방면으로 협업을 추진할계획이다. 디지털파트너센터는 현대해상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창규
정창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2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3

AI 반도체 수요 폭발...8월 ICT 수출, 역대 최대치 달성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8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반도체 판매 호조에 힘입어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8월 ICT 수출액은 228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특히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수요 확대가 반도체 수출 증가를 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