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입점 소상공인 지원에 두 팔 걷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정부가 경기 침체와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 경제를 살리기 위해 도입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대형마트 임대매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롯데마트와 이마트는 입점 매장 중심으로 사용처 안내를 강화하면서, 대형마트 입점 소상공인 지원에 두 팔을 걷었다.
![]() |
▲ 롯데마트. |
롯데마트는 전국 112개 점포 내 3000여 개 임대매장 중 약 30%인 900여 개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다. 이마트 역시 전국 156개 이마트 및 트레이더스 점포 내 2,600여 개 임대매장 중 약 37%인 960여 곳에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 매장은 주로 미용실, 안경점, 약국, 세차장, 키즈카페, 음식점 등 소상공인 운영 점포다. 대형마트 직영 매장에서는 쿠폰 사용이 제한되지만, 점포 내 입점한 임대 매장에서는 적극적으로 소진을 유도하고 있다. 롯데마트 중계점과 이마트 월계점 등에서는 음식점, 카페, 미용실, 약국 등 최대 20여 곳에서 쿠폰 사용이 가능하다.
두 대형마트는 소비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쿠폰 사용 가능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라는 문구가 담긴 안내문을 부착하고, 점포 주요 위치에 고지물을 배치하고 있다. 현장 직원 안내를 통해 사용 가능한 매장을 명확히 인지시켜, 소비자 혼선을 줄이고 임대 매장 매출을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쿠폰 사용처에 대한 명확한 안내가 고객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입점 파트너사의 안정적 영업에도 실질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마트 역시 “대형마트 내 소상공인의 매출 제고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
▲ 이마트 |
쿠폰 사용 확대가 입점 소상공인 매출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형마트를 찾는 소비자들이 장보기와 동시에 미용실, 약국, 음식점 등에서 쿠폰을 사용하는 비중이 늘면서, 임대 매장에 새로운 소비층이 유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여전히 과제가 있다. 일부 점포에서 소비자가 쿠폰 사용 가능 여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불편을 겪는 사례가 있고, 대형마트 직영 매장에서는 쿠폰 사용이 제한돼 소비자들의 기대와 실제 경험 간 격차가 발생한다. 또한 쿠폰 사용처 확대에도 불구하고 매출 증대 효과가 소수 매장에 집중된다는 지적도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단기적인 매출 부양에는 효과적이지만, 지속 가능한 소비 촉진을 위해선 대형마트와 입점 소상공인 간 협업을 통한 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유통업계는 향후 쿠폰 사용처 확대와 안내 체계 고도화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임대 상권 매출 회복을 뒷받침하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