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4', 국내 여행 스타트! 월미도에 뜬 홍인규, 1세대 아이돌 빙의?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0 09:03:06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즈’가 세 번째 ‘국내 여행’이자, ‘친구 집 독박투어’의 일환으로 홍인규의 고향 인천 월미도로 떠난다. 

 

▲'독박투어4'. [사진=채널S, SK브로드밴드]

 

12일(토) 밤 9시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4’(채널S, SK브로드밴드 공동 제작)에서는 ‘고향 특집’에 나선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인천 월미도에서 그 시절 추억을 함께 돌아보며 ‘절친 케미’를 발산하는 현장이 그려진다. 

 

앞서 이들은 ‘친구 집 독박투어’의 일환으로 장동민의 본가인 강원도 원주에 방문해 잊지 못할 추억을 쌓았던 터. 이에 다음 여행 장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장동민은 “나머지 사람들의 고향도 한 번씩 가보는 게 어떠냐?”고 말한다. 김대희는 “좋다”면서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는 걸로 하면 되겠네”라고, 홍인규의 고향 인천을 시작으로, 일산 유세윤, 대전 김준호, 그리고 자신의 고향 부산을 여행 코스로 잡는다. 

 

드디어 ‘독박즈’는 홍인규의 고향 월미도에서 뭉치고, 홍인규는 1세대 아이돌을 연상케 하는 파격 의상에 헤어피스까지 붙인 채 무아지경(?) 댄스와 함께 등장한다. 그 시절 아이돌로 빙의해 현란한 스텝을 밟는 홍인규의 모습에 유세윤은 “너 진짜 얼굴이 그대로다”라며 놀라워하고, 김준호도 “월미도 왕자가 여기 있었네~”라고 폭풍 호응한다. 그러자 홍인규는 “사실 그 시절, 밸런타인데이 때 내가 이 동네 초콜릿을 다 받았었지~”라며 어깨뽕을 세운다. 하지만 ‘독박즈’는 “누가 길에 버린 거 주웠겠지~”라고 깨알 디스해 폭소를 안긴다. 

 

진실이 미궁에 빠진 가운데, 이들은 월미도의 핫플인 ‘월미도 테마파크’에 입성한다. 홍인규는 ‘디스코 팡팡 DJ’ 출신임을 밝히면서, “당시 DJ 경쟁률이 100:1을 넘어섰는데 내가 단 번에 DJ가 됐다”고 자랑한다. 춤 실력 하나만으로 DJ 자리에 발탁됐다는 그는 “내가 여기서 표(디스코 팡팡 입장권)를 받았는데, 그때 지금의 아내가 음료수와 편지를 건네줬다”며 아내와의 첫 만남 장소가 ‘디스코 팡팡’임을 알린다. 그러더니 그는 “그때 디스코 팡팡 기계가 쉬는 동안, 잠깐 나와서 춤을 추면 여기 일대가 마비 됐었지”라고 ‘리즈 시절’을 소환한다. 이에 김준호 등은 동시에 “대체 왜?”라며 의심의 눈빛을 보내 짠내 웃음을 자아낸다. 

 

‘월미도 왕자’ 홍인규의 화려한 과거를 따라 추억 여행에 나선 ‘독박즈’의 세 번째 국내 투어는 12일(토) 밤 9시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4’ 7회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두산건설, 강화도에 ‘두산위브 센트럴파크 강화’ 분양 개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국내 주택 시장은 최근 4년간 경기 침체와 공사비 상승, 미분양 증가, PF 대출 경색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위축된 흐름을 보였다. 이에 따라 건설사와 시행사들이 추진해 온 사업 대부분이 지연되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가운데 두산건설은 인천 강화군 선원면창리에 신규 아파트 단지 ‘두산위브 센트럴파크 강화’를 선보이며 분양 시

2

디저트39, 제철 공주 밤으로 완성한 라떼 2종 출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디저트39가 가을을 맞아 제철을 맞은 공주 밤을 활용한 음료 2종을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밤 특유의 깊고 고소한 맛을 극대화해, 가을의 풍미를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됐다. 먼저 ‘공주밤라떼’는 잘 익은 제철 공주 밤을 사용해, 밤 본연의 달콤함과 깊은 고소함을 그대로 담아낸 라떼다.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3

철도공단, 경부고속선 동대구~부산 취약개소 ‘영상감시설비 개량 완료’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가철도공단 영남본부는 경부고속철도 2단계 동대구~부산 구간 선로변 취약개소의 영상감시설비 개량을 완료했다고 지난 8일 밝혔다. 취약개소는 터널 시·종점, 울타리 출입문 등 민간인의 출입에 취약해 철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한 구역을 말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기존 영상감시설비를 AI 기반의 객체인식시스템과 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