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식별자(DID) 서비스 ‘이니셜’ 앱에 고려대학교의료원의 ‘모바일 진료카드 서비스’를 새롭게 추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병원을 방문한 환자는 ▲본인 확인 ▲진료 접수 ▲대기표 발행 ▲무인 수납 ▲처방전 발행 ▲주차 등록 등 기존 병원 업무를 이니셜 앱으로 할 수 있다.
![]() |
▲ 모델이 고려대학교의료원 안암병원에서 ‘모바일 진료카드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
고려대학교의료원 모바일 진료카드 서비스는 이니셜 앱에서 약관 동의 절차를 통해 발급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고려대학교 구로병원과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확대될 예정이다.
또한 SKT는 향후 주민등록표등본‧ᆞ가족관계증명서 등 이니셜의 전자문서 발급 기능을 모바일 진료카드 서비스에 연계해 병원에서 필요한 서류를 바로 제출할 수 있는 기능 추가도 검토하고 있다.
SKT 이니셜은 블록체인과 DID 기반 자기 주권 신원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다. 사용자가 본인의 단말에 다양한 증명서를 발급ᆞ저장ᆞ제출할 수 있다.
오세현 SKT 디지털 에셋 CO담당은 “플라스틱 진료카드를 챙기지 못하고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도 핸드폰의 이니셜 앱을 통해 본인 확인을 받을 수 있는 모바일 진료카드 서비스를 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