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 손익차등형 공모펀드 목표수익률 달성 조기상환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1 11:04:14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국투자증권은 손익차등형 공모펀드 ‘한국투자글로벌신성장펀드’가 목표수익률 20%를 달성해 조기상환됐다고 11일 밝혔다.

 

이 펀드는 작년 8월 한국투자금융그룹이 출시한 손익차등형 공모펀드 1호다. ▲ AI(인공지능) ▲반도체 ▲전기차 ▲바이오 ▲명품 ▲우주경제 ▲클라우드 등 7개의 신성장 테마의 해외주식에 투자하며, 운용은 한국투자신탁운용이, 판매는 한국투자증권이 맡았다.

 

▲[사진=한국투자증권]

 

해당 상품은 공모펀드 시장 위축에도 불구하고 리테일 자금 919억원과 한국투자금융그룹의 후순위 투자 출자분까지 총 1075억원 규모로 설정됐다. 수익증권을 선순위와 후순위로 분리하고, 일정 손실까지 후순위 투자자가 먼저 떠안는 ‘손익차등형’ 구조로 설정 당시 큰 호응을 얻었다.

 

3년 만기 상품이지만 지난 11월 14일부로 목표했던 수익률 20%를 달성하며 조기상환이 결정됐다. 하위 사모펀드에 편입된 글로벌 AI와 반도체, 클라우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전체 수익률을 견인했다. 펀드는 3주간의 청산 절차를 밟아 이달 4일 각 투자자들에게 상환금 전액을 지급했다.

 

양원택 투자상품본부장은 “다양한 글로벌 자산에 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양질의 금융상품 개발 및 공급에 그룹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향후에도 투자 위험은 줄이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다양한 구조의 공모펀드를 적극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투자증권의 개인고객 금융상품 잔고는 올 들어 매달 1조3000억원씩 불어나며 11월 말 기준 업계 최대 규모인 67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채권·발행어음 등 약정금리형 상품을 적시 공급하는 한편, 금리인하기 투자자 니즈를 반영한 글로벌 하이일드 펀드와 월지급식 펀드 등을 선제적으로 공급한 것이 주효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네이버, 두나무 인수 수순…국내 최대 거래소와 결제 서비스 연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네이버가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와의 결합을 추진한다. 네이버가 최대주주로 있는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과 두나무가 포괄적 주식교환을 논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두나무가 네이버파이낸셜의 자회사로 편입될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두나무는 조만간 주주들에게 주식교환 관련 안내문을

2

삼성증권, '로보굴링·연금굴링' 투자하면 최대 1만원 지원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증권이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해 포트폴리오를 자문해주는 서비스인 ‘로보굴링’, ‘연금굴링’ 투자 고객을 대상으로 내달 13일까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삼성증권 ‘굴링’ 서비스는 매월 운용보고는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 수시 및 정기로 상품교체, 자산배분 비중 교체 등의 리밸런싱 알림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사후관리

3

NH투자증권, 토스 대출비교 서비스에 주식담보대출 입점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NH투자증권이 금융 플랫폼 ‘토스’가 운영하는 대출 비교 서비스에 국내 증권사 최초로 주식담보 대출 상품을 선보였다고 25일 밝혔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제휴로 토스 이용자들은 보유 주식을 처분하지 않고도 소액 생활자금을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의 모바일 서비스 ‘나무(NAMUH)’ 계좌를 보유한 개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