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 IPO 주관사 선정 착수…기업가치 최대 10조원 전망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8-19 14:01:09
  • -
  • +
  • 인쇄
매출 3년 새 두 배 성장...작년 흑자 전환
"KKR 투자 당시 3조5천억 평가→현재 5조 이상으로 상승"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기업공개(IPO) 준비를 위해 주관사 선정 절차에 들어갔다.

 

무신사는 18일 언론 공지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IPO를 검토할 예정”이라며 “이를 위해 복수의 증권사에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다만 상장 시점이나 목표 기업가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사진=무신사]

 

시장에서는 무신사의 몸값이 2023년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등의 투자 유치 당시 인정받은 약 3조5000억원에서 올해 5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무신사의 연간 매출은 ▲2022년 7085억원 ▲2023년 9931억원 ▲2024년 1조2427억원으로 성장했다. 2023년 28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2024년에는 1028억원의 흑자로 전환했다. 당시 기업가치 대비 매출 배수(EV/Sales)는 약 2.8배 수준이었다.

 

특히 업계에서는 일본 최대 패션 플랫폼 조조타운의 EV/Sales 배수(5~6배)를 기준으로 적용할 경우, 무신사의 기업가치가 최대 10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주관사 선정이 마무리되면 본격적인 상장 추진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무신사는 2001년 온라인 커뮤니티로 출발해 2009년 ‘무신사 스토어’를 론칭하며 이커머스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후 입점 브랜드를 대폭 확대하며 플랫폼을 키워왔고, 지난해 조만호 창업자가 경영에 복귀한 뒤에는 뷰티와 오프라인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했다.

 

또한 무신사는 지난 6월 K-패션 브랜드들과의 협력을 통해 2030년까지 글로벌 기준 연간 거래액 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박준모 대표는 같은 달 열린 ‘2025 무신사 글로벌 파트너스 데이’에서 “글로벌 사업은 물류 인프라 투자가 필수적인 만큼 IPO는 확장 전략에서 중요한 수단”이라며 “계획에 맞춰 IPO를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2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3

하나금융그룹,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하나금융그룹은 금융권 최초로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를 신설하고, 그룹 전사적 차원의 금융소비자보호 정책 추진을 위한 ‘그룹 소비자보호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한다고 26일 밝혔다. 하나금융그룹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구조적 저성장 위기 극복 및 국가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전(全) 관계사가 참여하는 ‘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