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송현섭 기자] IBK기업은행은 본부와 영업점에서 202개 업무를 디지털 기술로 자동화하면서 직원 1000명의 연간 업무시간에 해당하는 200만시간에 달하는 업무시간을 매년 줄이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특히 은행권에서는 처음 업무자동화 시간을 KPI로 정하고 영업점과 본부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전수 조사해 전사적으로 디지털 혁신을 추진한다는 점이 돋보인다.
![]() |
▲IBK기업은행이 본부와 영업점에서 202개 업무를 디지털 기술로 자동화하면서 직원 1000명의 연간 업무시간에 해당하는 200만시간에 달하는 업무시간을 매년 줄이고 있다. IBK기업은행 본점 전경 [사진=IBK기업은행] |
IBK기업은행은 우선 단순·반복업무에 RPA(로봇프로세스자동화)를 도입해 임직원이 기업분석·평가 등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하는 업무여건을 조성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또 서류에서 문자를 인식하는 OCR 기술을 활용해 육안으로 점검하던 해외송금 증빙서류 검토시간을 줄이고 정보누락에 따른 위험도 없애는 등 다양한 자동화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업무자동화는 다수의 직원이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사로는 적용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IBK기업은행은 이를 꾸준히 확대·강화해 10월 미국에서 열린 업무자동화 컨퍼런스 ‘Forward 6’ 우수사례로 소개돼 600개사 4000여명의 눈길을 한몸에 받았다.
IBK기업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실질적인 업무시간 절감에 집중할 계획”이며 “직원의 손과 눈 역할을 하는 로봇비서를 도입해 직원과 로봇이 한 팀처럼 일하도록 하고 간소화할 수 있는 업무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효율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IBK기업은행은 서류인식 자동화시스템 구축사업자를 선정해 근로자 퇴직연금 과세이연 정보·재정기금추천서 등록과 개인카드 신규정보 입력 등 12개 업무를 자동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