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기사 노조 어린이날 파업 선언 '배달 대란' 우려

김형규 / 기사승인 : 2023-04-28 14:36:53
  • -
  • +
  • 인쇄
노조 배달료 1000원 인상 요구…사측 등과 조정 결렬
노조원 88.14% 파업 찬성…배민 "배달 운영 점검‧대응"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배달의민족(배민) 배달 기사 노조가 다음 달 어린이날에 파업 엄포를 놓고 있어 배달 대란 사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27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동조합은 이날 노조와 배민 라이더 운영사인 우아한청년들의 단체 교섭이 결렬됨에 따라 어린이날 파업을 강행한다고 밝혔다. 공휴일인 해당 날짜에 배달 물량이 몰릴 것으로 예상돼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가시지 않는다.


 

▲ 주행 중인 배민라이더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배민 기사 노조는 앞서 19일 기자회견을 통해 기본 배달료가 9년째 3000원으로 동결 중이라며 이를 4000원으로 1000원 인상해야 한다고 우아한청년들 측에 촉구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노동조합 활동 보장' 등도 요구안에 담았다.

당시 노조는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다음 달 1일 집회와 오토바이 행진을 벌이고 5일에는 파업 등으로 사측을 더욱 강하게 압박할 계획이라고 예고했다.

이후 노사 간 중앙노동위원회의 2차 조정이 결렬되며 노조의 어린이날 파업이 최종적으로 결정됐다. 노조는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이 투표에는 전체 조합원의 약 80%가 참여했으며 투표 결과 88.14%의 찬성표가 나왔다는 게 노조 설명이다.

노조는 "지난해 영업이익 4200억원을 낸 사측이 배달노동자 처우개선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단체 행동 이유를 밝혔다.

배민은 현재 배달 앱 시장 1위 업체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배민의 월 사용자 수는 1332만명으로 2위 앱인 요기요(491만명)에 비해 약 2.8배 많다.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만큼 배달 기사 파업의 여파도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사측은 아직 노조와의 협의점을 찾기 위해 노력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우아한청년들 관계자는 "아직 대화가 진행 중인 사항으로 지난 조정 결과와 상관없이 대화를 통한 합의점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파업 당일 상황에 따른 시뮬레이션 점검을 통해 안정적으로 배달이 운영될 수 있도록 대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우아한청년들은 앞서 2020년과 2021년에도 노조와의 단체 교섭에서 합의를 이끌어 냈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카드, 해킹으로 고객 297만명 정보 유출…"전액 보상·인적 쇄신"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롯데카드가 외부 해킹 공격으로 전체 회원 약 960만명 중 297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18일 공식 발표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객과 유관기관에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사임을 포함한 인적 쇄신과 보안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유출된 정보는 온라인 결제 과정에서 생성·수집된

2

한국마사회, 과천공연예술축제 연계 ‘도심승마축제’ 개최…시민 대상 무료 체험 제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한국마사회(회장 정기환)는 9월 19~20일 과천시민공원에서 열리는 ‘과천공연예술축제’와 연계해 시민들이 무료로 승마를 체험할 수 있는 ‘도심승마축제’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이번 도심승마축제는 도심에서도 말과 가까이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국민들의 승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축제는 19일 오후 2시부터 6시

3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글로벌 정식 출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넷마블은 수집형 RPG ‘세븐나이츠 리버스’를 글로벌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지난 16일부터 글로벌 사전 다운로드를 시작했으며, 일본·대만·태국·홍콩·마카오 앱스토어에서 인기 1위를 기록하며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용자들은 앱마켓(AOS, iOS)을 통해 모바일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PC 버전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