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업계, 올해도 여름철 불청객 초파리와 '소리 없는 전쟁'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8 15:59:45
  • -
  • +
  • 인쇄
"음식 속 초파리로 인한 항의 아찔해"
식중독균 득실 '초파리', 올해도 '고충'

[메가경제=정호 기자] 직장 동료와 여의도에 카페를 방문한 A씨는 커피 속 얼음 위에 작은 이물질이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여름 불청객 초파리였다. 

 

18일 카페업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해 방문객이 줄어든 상황에서 초파리 문제까지 겹치며 더 큰 골치를 앓고 있다. 카페 프랜차이즈들은 A씨의 사례처럼 제조·서빙 과정 중 쥐도새도 모르게 들어간 초파리 때문에 겪는 고객 항의로 고민이 깊어진다. 한 점주는 "초파리 때문에 별점 테러를 받는 등 고초도 겪었다"는 고충을 털어놓으며 초파리 구제 방법을 묻기도 했다. 올해 여름도 초파리와 소리 없는 전쟁이 시작된 셈이다.

 

▲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초파리는 따듯하고 습한 환경을 선호해 여름철에 번식기를 맞는다. 특히 높은 당분과 산도 가진 과일 등을 좋아하며, 몸집이 작아 하수구 등 틈새에서도 출몰한다. 카페는 여름철 과일을 사용한 음료 수요 증가로 많은 과일을 구매해 두기에 초파리가 출몰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 커피도 산미가 높은 원두를 사용하면 초파리를 불러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초파리는 상한 음식물에서 세균을 옮겨와 식중독의 원인을 제공하기에 방치할 수도 없다. 실제로 카페 프랜차이즈들은 여름철 기승인 초파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A프랜차이즈 측은 "영상·종이 유인물을 통한 하절기 위생교육과 영업담당자의 방문교육, 해충방제업체와 제휴해 가맹점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B프랜차이즈는 "매년 여름, 가맹점별로 방역이나 포충등 등을 이용해서 방제하고 있다"며 "가맹점에서는 세스코 같은 방역업체의 방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초파리로 인한 문제는 카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깐 사장이다'에서는 카페 외에도 ▲상온에서 놔둬 초파리가 생기자 환불해달라는 민원 ▲아무리 청소·방지를 해도 계속 생겨나는 상황 ▲초파리를 잡느라 허비하는 시간 ▲음료에 초파리가 발견돼 받은 낮은 별점 등 다양한 고충들이 쏟아지고 있다.

 

한편, 한 배달앱 커뮤니티는 초파리를 방지하기 위한 위생 수칙을 안내하기에 이르렀다. 그 방법은 ▲매장 입구·창가·화장실 주변에 음식물 쓰레기통 및 분리수거함을 두지 말 것 ▲식자재를 냉장·냉동 보관해 초파리의 접근을 차단할 것 ▲산란 장소인 배수로와 하수구 등의 철저한 청결 관리 ▲식초와 와인 등으로 만든 초파리 트랩의 주기적으로 교체할 것 등 등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 평가 서비스 '비원스' 출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평가 서비스 ‘비원스(B.once)’를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비원스는 5분 만에 단 한 번의 진단만으로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상태(잔존 용량, 전압 및 온도 등)를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다. 특히 비원스는 LG에너지솔루션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1만 건 이상의 배터리 관리 및 진단 특허를 바탕

2

유한코스메틱, 사명 변경으로 새 출발…“신뢰받는 ODM 파트너 도약”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유한양행 관계사 화장품 ODM 전문기업 ㈜코스온이 13일 사명을 ㈜유한코스메틱(Yuhan Cosmetics)으로 변경하고 새로운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사명 변경은 국내 1위 제약사의 연구 기술력과 품질 관리 역량을 화장품 산업에 접목해 차별화된 ODM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유한코스메틱은 새로운 비전으로

3

서초진흥 재건축, 59층 857가구 규모 초고층 아파트로 추진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서울 강남역 초인접, ‘서초 진흥’ 아파트 재건축 조합이 통합심의 접수를 완료하고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서초진흥아파트 조합은 지난 24일 서울시에 통합심의를 접수했다. 지난 1월 정비계획 변경 고시 이후 통합심의 신청까지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특히 신속통합기획(이하 ‘신통기획’) 방식 도입으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