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택배, 주 7일 배송 놓고 노사갈등 고조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3 17:09:01
  • -
  • +
  • 인쇄
노조, 7일 배송 중단·사회보험 적용 확대·적정 수수료 보장 요구
건강권·휴식권 지적에 국민청원까지 번져...타사와 실효성 대비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진택배가 쿠팡·CJ대한통운과 마찬가지로 주 7일 배송 서비스를 도입했지만 내부 갈등이 날로 첨예해지는 양상이다. 문제는 제도 도입 이후 건강권·휴식권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서부터 촉발됐는데 노조는 소규모 인력으로 주 7일제 배송 소화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전국택배노동조합은 '택배노동자 차별철폐대회'를 개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요구 사항은 주 7일 배송 중단·사회보험 적용 확대·적정 수수료 보장 등이다. 노조 측은 권리 신장을 위해 계속 목소리를 높일 예정이다. 

 

▲ <사진=한진택배>

 

한진택배의 주7일 배송 서비스는 지난달 말부터 수도권과 지방 주요 도시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다.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앞서 해당 배송사업 시범운영 도입을 반발하며 서울 중구 한진 본사 앞에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반발이 계속되자 한진택배 측은 거부하는 기사들에게 수수료를 감액하겠다는 내용 증명을 보내기도 했다. 일부 운수업 종사자는 계약 해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택배노조 관계자는 "택배업계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주 7일제를 도입했지만 운수 종사자들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제도를 도입했다"며 "건강권과 휴식권을 보장 받기 위해 계속 회사와 접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현직 종사자들의 불만이 거세다. 택배업 종사자들은 "한진택배 기사들은 회사에 대해 감정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안다", "어차피 지금 발버둥 해봤자, 쿠팡 따라잡기 늦었다", "효율성만 제로이기에 불편만 따른다" 등 의견을 내기도 했다. 

 

특히 실효성 부분에서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노조와 대리점협회에서 상생협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택배 노조에 따르면 한진택배 측은 이런 대안 없이 계약 해지·용차비 전가 등으로 운수업 종사자들을 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불만은 국민청원으로 이어지며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국회전자청원 '택배기사들의 휴식권 보장 및 과로사 방지 대책 촉구에 관한 청원'에는 5만명이 찬성하기도 했다. 국민청원으로 요구된 사안은 주 6일 근무제 유지 및 최소 주 1~2일 휴식 보장, 추가 인력 충원 및 합리적인 근무 분담을 비롯한 제도 완화다. 

 

한편,  '메가경제'는 불공정한 수수료 차감 등 불이익과 주 7일제 도입 이전 충분한 노사 합의에 대해 질문했지만 '한진택배' 측의 답변을 받지 못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2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3

하나금융그룹,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하나금융그룹은 금융권 최초로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를 신설하고, 그룹 전사적 차원의 금융소비자보호 정책 추진을 위한 ‘그룹 소비자보호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한다고 26일 밝혔다. 하나금융그룹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구조적 저성장 위기 극복 및 국가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전(全) 관계사가 참여하는 ‘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