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 ‘CES 2022’에서 ‘이동 경험의 영역을 확장하다’라는 주제로 발표회를 열고 로보틱스 비전을 공개했다고 5일 밝혔다.
현대차의 로보틱스 비전은 ▲사용자의 이동 경험이 확장되는 ‘메타모빌리티’ ▲사물에 이동성이 부여된 ‘사물모빌리티(MoT)’ 생태계 ▲인간을 위한 ‘지능형 로봇’ 등으로 구성됐다.
![]() |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로봇개 스팟과 함께 로보틱스 비전을 발표하는 모습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
메타모빌리티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결돼 가상 공간까지 이동범위가 확장된다는 의미다. 가상 공간을 로봇으로 현실과 연결하면 사용자는 실제 현장에 있는 듯한 대리 경험도 할 수 있다.
현대차는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자율주행 등의 기술로 미래 모빌리티 간 경계를 허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동차‧도심항공교통(UAM) 등 다양한 모빌리티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접속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 |
▲ 메타버스에 실제와 같은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로봇을 포함한 모든 기기와 장비들을 연결시킨 스마트팩토리 상상 이미지 [현대자동차 제공] |
MoT 생태계는 로보틱스 기술을 통해 모든 사물에 이동성을 부여한 개념이다. 현대차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플러그 앤 드라이브 모듈(PnD), 드라이브 앤 리프트 모듈(DnL) 등을 공개했다.
PnD 모듈은 모든 사물에 부착해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 작은 테이블에서부터 커다란 컨테이너에 이르기까지 범위의 제한이 없다. 크기‧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DnL 모듈은 각 휠이 독립적으로 기능하며 휠마다 장착된 모터가 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 |
▲ 로보틱스 기술로 모든 사물이 자유롭게 스스로 움직이는 MoT 생태계 가상도 [현대자동차 제공] |
지능형 로봇은 지각 능력을 갖추고 인간‧외부환경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로보틱스 기술이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이 인수한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스팟‧아틀라스가 대표적이다. 현대차는 인간의 한계 극복을 돕는 다양한 웨어러블 로봇 기술개발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서비스 로봇 스팟과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 등 2종의 로봇 실물도 함께 관람객들을 맞는다.
일 3회, 약 20분에 걸쳐 전시관 중앙 무대에서 관객들에게 로보틱스 비전을 소개한다. ‘스팟 댄스 퍼포먼스’, 퍼스널 모빌리티, L7, ‘모베드 작동 시연’으로 구성된 로보틱스 퍼포먼스도 진행한다.
이외에도 관객들이 직접 아바타를 만들어 가상 공간에서 함께 소통하는 ‘메타버스 존’도 운영한다.
정의선 회장은 “로보틱스는 더 이상 머나먼 꿈이 아닌 현실”이라며 “현대차는 로보틱스를 통해 위대한 성취를 이루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한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메타모빌리티로 확장하고 이를 위해 한계 없는 도전을 이어 가겠다”며 “로보틱스 비전이 인류의 무한한 이동과 진보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