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한샘 대표, 비핵심 분야 구조조정...임직원 불안감 고조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6-30 16:41:35
  • -
  • +
  • 인쇄
기존 인력 거취 불투명....퇴사 종용 행보
AS 본사편입 및 건물관리 '매각' 사내공지

[메가경제=정호 기자] 김유진 한샘 대표이사가 본격적인 사업 재편 작업에 착수하며 조직 내부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리하우스와 홈퍼니싱 중심의 ‘핵심사업 강화’라는 명분이 내세워졌지만, 일각에서는 비핵심 부문 정리 과정이 사실상 인력 감축 수순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샘은 자회사인 한샘개발을 중심으로 ▲AS 부문의 본사 통합 ▲콜센터 외주 전환 ▲건물 관리부문 매각 등의 구조조정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에 들어갔다. 다만, 기존 인력의 직무 전환 등 세부 거취는 아직 명확하게 결정되지 않아 직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 김유진 한샘 대표이사.[사진=연합뉴스]

김유진 대표는 2023년 8월 IMM프라이빗에쿼티의 지원을 받아 대표이사에 선임됐으며, 당시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다”고 공언한 바 있다. 그러나 김 대표 취임 이후 인력 규모는 줄고, 부동산 자산 매각과 사업 효율화가 병행되며 조직의 체질 개선이 가속화 됐다.

실제 한샘의 전체 직원 수는 2021년 2540명에서 지난해 말 2188명으로 약 13.8% 감소했다. 한샘개발과 한샘서비스로의 전출 인력 약 240명을 포함하면 감소 폭은 더 크다. 같은 기간 매출은 2조2312억원(2021년)에서 1조9084억원(2023년)으로 고꾸라졌다. 다만 영업이익은 2022년 217억원 적자에서 2023년 312억원 흑자로 돌아서며 개선됐다.

이익 개선의 배경에는 상암사옥(3200억원)과 방배 디자인파크(390억원) 매각 등 자산 정리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실적 개선이 인력과 조직 축소를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보다는 단기적인 성과에 집중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콜센터 외주화, AS 부문 통합 등은 기존 직원의 역할 축소를 의미한다”며 “새로운 업무 재배치나 부서 이동 과정에서 퇴사를 유도하는 방식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샘 관계자는 “이번 사업 효율화는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고객과 임직원이 신뢰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변화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밤중 문두리기는 기본" 도 넘은 HDC현산, 송파한양2차 '불법 개별홍보' 오만상
[메가경제=이준 기자] 서울 송파구의 대표적 노후단지인 한양2차 재건축사업의 경쟁 입찰이 무산된 가운데, HDC현대산업개발(이하 ‘HDC현산’)의 도 넘은 불법 개별홍보가 조합원들 제보로 뒤늦게 밝혀져 파문이 일고 있다. 4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송파한양2차 재건축정비사업조합이 진행한 시공사 선정 입찰에 GS건설이 단독 참여 하면서 유찰됐다. GS건설

2

KB캐피탈, 'KB차차차 데이터' 중고 수입차 판매 순위 공개
[메가경제=정호 기자] KB캐피탈이 운영하는 중고차 거래 플랫폼 ‘KB차차차’가 지난해 8월부터 1년간 KB차차차에서 판매된 2000만원 미만 수입 중고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프 레니게이드가 1위를 차지했다고 4일 밝혔다. 지프 레니게이드에 이어 2위는 폭스바겐 파사트, 3위는 도요타 프리우스, 4위는 폭스바겐 CC, 5위는 닛산 알티마로 집계됐다.

3

‘승리의 여신: 니케’, 신규 SSR 니케 2종 추가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레벨 인피니트는 시프트업이 개발하고 자사가 서비스하는 승리로 향하는 소녀들의 건슈팅 RPG ‘승리의 여신: 니케’에 바니걸 콘셉트의 신규 SSR 니케 2종을 업데이트한다고 4일 밝혔다. 메이드 포 유 스쿼드의 ‘에이드 : 에이전트 바니’는 자신의 적정 사거리를 대폭 늘려 아군을 강화하는 버스트 스킬을 보유한 지원형 니케다.카페 스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