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 완공 앞당겨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서둘러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최근 인플레 감축법(IRA) 발효에 의해 미국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서 현대차‧기아가 제외되자, 이에 현지에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은 미국에서 일주일가량 머물며 현지 사업 현안 전반을 두루 살피고 워싱턴DC‧뉴욕‧조지아주 등에서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전해졌다.
![]() |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
정 회장은 지난 23일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미국 출장을 떠났다. 국내외 대관 업무를 맡는 공영운 현대차 사장도 함께 출장길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시기상 정 회장의 이번 출장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IRA의 대응책으로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 완공을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상태다.
현대차 관계자는 “정 회장의 출국은 확인됐으나 그 목적이나 공식 일정은 아직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16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달 상‧하원을 통과한 이 법안에 서명하며 본격적으로 IRA 발효가 결정됐다.
IRA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기차 구매 시 세액을 공제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법안이다.
![]() |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8월 16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IRA 법안에 서명하는 모습. (왼쪽부터) 조 맨친 상원의원, 척 슈머 상원의원, 조 바이든 대통령, 제임스 클리번 하원의원, 프랭크 펄론 하원의원, 캐시 캐스터 하원의원 [AP=연합뉴스] |
이 법안은 미국 정부가 기후변화 대응에 3690억 달러(약 482조 원)를 투입하고, 전기차 제조사별로는 연간 20만 대까지 보조금(세액 공제)을 지급하던 한도를 없앤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 법안의 핵심은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와 미국 내에서 생산(최종 조립)되지 않은 전기차를 세액 공제 혜택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다. 즉 배터리 업계에서 중국의 글로벌 공급망을 압박하기 위한 정책으로 해석될 수 있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법안이지만 이로 인해 애꿎은 현대차그룹의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IRA의 발효로 아이오닉5‧EV6 등 전기차를 수출하는 현대차그룹의 경우 미국 현지 생산이라는 조건을 맞추지 못해 보조금 혜택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6일 바이든 대통령의 법안 서명 뒤 공개된 보조금 지원 대상 전기차 리스트에서는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가 제외됐다. 현대차그룹의 주력 전용 전기차인 두 모델은 현재 전량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 중이다.
![]() |
▲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 5 생산라인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
이에 현대차그룹은 당초 내년 상반기 착공해 오는 2025년 상반기 완공을 예상하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 계획을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또 업계에 따르면 올해 말로 예정됐던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의 미국 앨라배마 공장 생산 시기도 앞당길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졌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앨라배마 공장의 전기차 생산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의 착공‧완공 시기를 앞당기는 방안은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