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이석호 기자] 롯데건설은 '2050 탄소중립'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친환경 건설 신소재 기술개발 벤처기업인 위드엠텍과 함께 기존 콘크리트보다 탄소 배출량을 최대 90%까지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콘크리트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콘크리트의 주원료인 시멘트는 1톤이 생산되는 데 0.9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 |
▲ 롯데건설 기술연구원과 위드엠텍 관계자들이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 성능 테스트 후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롯데건설 제공] |
롯데건설이 개발한 친환경 콘크리트는 철강산업 부산물인 고로슬래그를 80% 이상 쓰고 강도·내구성 향상 첨가제를 일부 사용했다.
또 콘크리트 속의 시멘트 성분과 물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수화열을 30% 이상 낮춰 균열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아파트 기초 및 말뚝과 같은 땅속 대형 구조물의 시공 품질 확보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시멘트를 종전의 5%만 쓰고도 기존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높고, 염분 피해에 대한 내구성도 더 우수하다.
친환경 콘크리트로 아파트를 시공하면 1000세대 기준 약 6000톤의 내재탄소 저감이 가능하며, 이는 나무 약 4만 2000그루를 심는 효과가 있다.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콘크리트를 건설 현장에 적용해 탄소배출 저감과 녹색건축물 인증을 통한 친환경 건축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